로고 이미지

오피니언

오피니언 : 아름다운사회

[정운 스님] 아집의 깊이와 행복?

[정운 스님] 아집의 깊이와 행복?

by 정운 스님 2019.06.25

당나라 말기, 건봉 스님이 있었다. 한 승려가 찾아와 스님에게 물었다.
“시방十方이 다 불토佛土로 뚫리고, 큰 길 하나가 곧바로 열반의 문으로 뚫렸는데, 어디부터 가야 합니까?”
건봉 선사는 당신이 서 있는 그 자리에서 지팡이로 땅바닥을 두들기며, 말씀하셨다.
“눈앞이 곧 길이다[眼前問卽是道路], 바로 여기서부터 가면 됩니다.”

독자님들은 무슨 말인지 의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는 원래 기도하는 종교라기보다 마음 닦는 수행의 종교이다 보니, 수행이나 명상에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앞의 이야기를 정리하면, 간단한 내용이다. 수행을 하고자 하는데, 무엇부터 어느 것부터 실천해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느냐는 질문이다. 어떤 문구이든 사람마다 해석하는 방식이나 이해가 다르다. 사람마다 자신의 인생관과 세계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 당우 주련에 이런 내용이 있다. “원각도량이 어디인가? 현재 생사가 일어나는 바로 그곳이다[圓覺道場何處 現今生死卽是]. 여기서 ‘원각도량’이란 깨달음의 경지이고, ‘생사生死’란 삶과 죽음이 아니라 번뇌를 상징한다. 곧 깨달음을 얻고자 발버둥 치며, 여기저기 수소문 내며 찾아도 길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그 출발점은 먼 곳이 아니다. 바로 자신이 평소에 생각하고, 괴롭다고 신음하는 자신에게서 출발점이 있는 것이요, 출발점을 돌이키면 바로 그 자리에 목적지[깨달음]가 있다.
중국을 순례하는 동안 어느 사찰 일주문 위에 쓰여 있는 문구를 보고, 감탄한 적이 있다. “회두시안回頭是岸[자신이 서 있는 그 자리에서 고개를 돌리면, 그 자리가 극락]”이다. 이 말은 <주자어류朱子語類>에 나오지만, 불교에서도 많이 쓰인다. 곧 해탈 언덕[彼岸]은 수년 동안 열심히 먼 길을 걸어야 청정세계에 도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중생들이 살고 있는 바로 이 자리가 해탈의 언덕이다. 마음의 본질을 자각하는 그 자리가 바로 행복 지점이라는 뜻이다.
“10년 공부 도로아미타불”이라는 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든 탑이 무너진 경우를 빗대어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아미타부처님이 극락세계에 계신 줄 알고 염불해서 자신도 그 세계에 가려고 했더니, 그 (他方)세계는 저 먼 곳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자리에 있음을 10년 만에 알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유마경>에서는 ‘차안즉피안此岸卽彼岸’ ‘번뇌 즉 보리’라고 한다.
일상의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내가 고통에 빠져 있을 때, 가만히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라. 어디에 답이 있는가? 매우 멀리 있는 것 같지만, 결국 자신 안에 그 답이 있다. 물론 물리적인 고통과 고뇌가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자신의 마음을 바꾸면 된다. 예를 들어 배우자와 늘 다툼이 있다고 하자. 배우자가 내 비위를 맞추거나 상대가 변하기를 기다리면, 영원히 두 사람 사이에 평화는 없다. 곧 자신이 먼저 변해야 한다. 거기에 해답이 있다. 우리가 행복한 극락[천국]이 멀리 있다고 느낀다면, 왜 행복이 멀리 있는가를 생각해보자. 그 멀리만큼의 길이란 곧 아집의 깊이이다. 자아 집착을 버리는 그 자리에 행복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