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정부 "진단검사 건수 늘려 젊은층 무증상자 등 조기 발견"

정부 "진단검사 건수 늘려 젊은층 무증상자 등 조기 발견"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0.12.0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조용한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 진단검사 건수를 현재보다 늘려잡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검사를 받기 위한 기준을 완화하고, 무증상 감염이 있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검사를 실시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1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의심환자가 (보건소 등으로) 와서 확진하기 위한 검사가 2~3만건 이뤄지고, 확진자 격리해제 전과 병원 입원 전, 요양시설 주기적인 검사까지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하고 있다"며 "평상시 6만건 정도의 PCR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22~28일 지난주 동안 43만5757건의 검사가 이뤄졌다. 적게는 3만4479건(11월22일 일요일), 많게는 8만126건(11월25일)으로 하루 평균 6만여건 수준이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2~3만건 정도 (검사) 여유가 있어 검사 기준 완화를 포함, 젊은 층에서 무증상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어 그 부분을 검사를 통해 해결할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항원이나 항체를 이용한 신속검사를 통해 젊은층의 무증상 감염을 확인하고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응급실 의료인력, 요양시설 등 코로나19 감염에 노출되기 쉬운 직군을 대상으로는 신속검사를 도입하는 방밥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관련 질문을 받고 "항체검사는 감염이 된 사람들을 확인하는 것이니, 감염된 이후에 항체가 형성되니 진단용으로 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항원검사는 진단을 위해 할 수는 있는데, 증상이 있을 때보다 무증상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위양성이 높다"며 "젊은층 대상으로 항원 검사를 하는 것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예컨대 고위험집단, 요양원 요양시설에서는 항원검사 15~20분 결과 나오는 장점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검사 봐야되는 응급실, 증상 있으면서 응급실에서 결과 빨리 봐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적극적으로 항원검사하는 방법을 마련 중"이라며 "조만간 방대본을 통해 안내할 것"이라고 전했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