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필터형 마스크 10개 중 7개는 '허위과장' 광고
시중 필터형 마스크 10개 중 7개는 '허위과장' 광고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0.12.01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면 마스크 등에 부착·삽입해 사용하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유통되는 제품의 대부분은 성능을 허위·과장하고 있고 실제 품질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과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유통·판매되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안전실태를 공동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네이버에서 판매되는 상위 100개 제품의 표시, 광고 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100개 중 68개 제품이 '바이러스 차단', '미세먼지 차단', 'KF등급 표기', '비말차단' 등 의약외품 마스크로 오인할 수 있는 허위, 과장 광고를 하고 있었다.
68개 제품 중 보건용 마스크(KF)와 같은 효능·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10개 제품에 대해 시험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은 분진포집효율(사람이 공기를 들이마실 때 필터가 작은 입자를 걸러주는 비율)이 보건용 마스크의 최소 등급인 KF보다 낮았고, 그 중 1개 제품은 해당 성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분진포집효율이 80% 이상인 나머지 3개 중 1개 제품은 'KF94'로 표기돼 있었지만 실제 성능은 평균 81%에 불과했다. 또 10개 중 1개 제품은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품질 기준인 액체처항성 기능이 적합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제품 성능이 미흡했다.
문제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가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생활용품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품질 기준이 정해져 있긴 하지만 제품 판매 시 해당 기준에 충족하는지 여부를 인증받을 의무는 없어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제품의 표시·광고에 대한 개선 조치를 권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소관부처 지정 및 관리방안 마련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한국소비자원과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유통·판매되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안전실태를 공동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네이버에서 판매되는 상위 100개 제품의 표시, 광고 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100개 중 68개 제품이 '바이러스 차단', '미세먼지 차단', 'KF등급 표기', '비말차단' 등 의약외품 마스크로 오인할 수 있는 허위, 과장 광고를 하고 있었다.
68개 제품 중 보건용 마스크(KF)와 같은 효능·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10개 제품에 대해 시험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은 분진포집효율(사람이 공기를 들이마실 때 필터가 작은 입자를 걸러주는 비율)이 보건용 마스크의 최소 등급인 KF보다 낮았고, 그 중 1개 제품은 해당 성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분진포집효율이 80% 이상인 나머지 3개 중 1개 제품은 'KF94'로 표기돼 있었지만 실제 성능은 평균 81%에 불과했다. 또 10개 중 1개 제품은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품질 기준인 액체처항성 기능이 적합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제품 성능이 미흡했다.
문제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가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관리대상생활용품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품질 기준이 정해져 있긴 하지만 제품 판매 시 해당 기준에 충족하는지 여부를 인증받을 의무는 없어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제품의 표시·광고에 대한 개선 조치를 권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교체용 마스크 필터의 소관부처 지정 및 관리방안 마련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