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체온으로 전기 만든다"…서울대 교수팀 기술 개발
"피부체온으로 전기 만든다"…서울대 교수팀 기술 개발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0.12.01

서울대 공대는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 연구팀(이병문 박사·조현 연구원)이 인간 체온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인간 피부에 완전히 밀착해 체온으로 자가발전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배터리 없이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키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공대 측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됐다.
공대 측에 따르면 현재까지 관련 기술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웨어러블 기기에 실제 응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당겨지거나 구겨져도 높은 전기 전도도를 유지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기판의 열 전달 능력을 800%까지 높였다고도 공대 측은 설명했다.
홍 교수는 "유연성과 열효율을 동시에 높여 실제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실용성 높은 유연 열전소자를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배터리 없는 자가발전 웨어러블 기기의 대중화 및 시장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인간 피부에 완전히 밀착해 체온으로 자가발전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배터리 없이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키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공대 측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됐다.
공대 측에 따르면 현재까지 관련 기술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웨어러블 기기에 실제 응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당겨지거나 구겨져도 높은 전기 전도도를 유지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기판의 열 전달 능력을 800%까지 높였다고도 공대 측은 설명했다.
홍 교수는 "유연성과 열효율을 동시에 높여 실제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실용성 높은 유연 열전소자를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배터리 없는 자가발전 웨어러블 기기의 대중화 및 시장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