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 경계암 특성 규명…치료전략 개발 기대
위·식도 경계암 특성 규명…치료전략 개발 기대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0.12.28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서윤석 교수 연구팀은 미국 Jackson Laboratory, MD Anderson Cancer Center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위와 식도 경계에 발생하는 암의 특성을 밝히고,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을 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식도에서 위로 이어지는 소화관 중 두 기관의 경계부에 발생하는 암을 '위식도경계부 선암'이라고 한다.
위암이 흔한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암이었지만 최근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국내에서도 발견되는 횟수가 늘고 있다.
위식도경계부 선암은 발생 위치가 위와 식도 사이로 다소 모호해 위암으로 봐야 할지 식도암의 일종으로 판단해야 할지 논쟁이 있었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두 암과 위식도경계부 선암의 특성을 자세히 비교해야 하는데 각자 주로 발생하는 지역이 달라 단일 국가나 기관에서 연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생물학적 배경과 분류법, 표준 치료법, 병기 설정 등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치료법 발전이 더딘 상황으로 수술적 치료에서도 일반적인 위암 수술보다 까다롭고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인 TCGA와 서울대병원 차세대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각자 다른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위암과 식도암, 위식도경계부 선암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위식도경계부 선암은 크게 위암의 성격을 가진 '위양 위식도경계부암'과 식도암과 유사한 '식도양 위식도경계부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두 종류의 암에 대해 세포주 실험을 했을 때 표적치료제에 대한 약물반응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각자에 최적화된 치료 전략을 연구개발 한다면 그간 예후가 좋지 않았던 위식도경계부 선암의 치료법 발전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윤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식도경계부암이 위암인지 식도암인지에 대한 오래된 의학계 난제를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해소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법을 바탕으로 위식도경계부암 뿐만 아니라 인접해있는 상부 위암, 식도암 등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높임으로써 한 단계 높은 맞춤형 위장관 암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외과학계에서 권위 있는 저널인 'Annals of Surgery'에 게재됐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식도에서 위로 이어지는 소화관 중 두 기관의 경계부에 발생하는 암을 '위식도경계부 선암'이라고 한다.
위암이 흔한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암이었지만 최근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국내에서도 발견되는 횟수가 늘고 있다.
위식도경계부 선암은 발생 위치가 위와 식도 사이로 다소 모호해 위암으로 봐야 할지 식도암의 일종으로 판단해야 할지 논쟁이 있었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두 암과 위식도경계부 선암의 특성을 자세히 비교해야 하는데 각자 주로 발생하는 지역이 달라 단일 국가나 기관에서 연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생물학적 배경과 분류법, 표준 치료법, 병기 설정 등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치료법 발전이 더딘 상황으로 수술적 치료에서도 일반적인 위암 수술보다 까다롭고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인 TCGA와 서울대병원 차세대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각자 다른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위암과 식도암, 위식도경계부 선암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위식도경계부 선암은 크게 위암의 성격을 가진 '위양 위식도경계부암'과 식도암과 유사한 '식도양 위식도경계부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두 종류의 암에 대해 세포주 실험을 했을 때 표적치료제에 대한 약물반응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각자에 최적화된 치료 전략을 연구개발 한다면 그간 예후가 좋지 않았던 위식도경계부 선암의 치료법 발전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윤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식도경계부암이 위암인지 식도암인지에 대한 오래된 의학계 난제를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해소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법을 바탕으로 위식도경계부암 뿐만 아니라 인접해있는 상부 위암, 식도암 등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높임으로써 한 단계 높은 맞춤형 위장관 암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외과학계에서 권위 있는 저널인 'Annals of Surgery'에 게재됐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