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작년 취업자 21.8만명↓…코로나에 IMF 이후 최악 고용한파

작년 취업자 21.8만명↓…코로나에 IMF 이후 최악 고용한파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1.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해 취업자 수가 1998년 이후 22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하는 등 고용시장이 꽁꽁 얼어 붙었다.
실업자 수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며 일시 휴직자도 통계 작성 이래 40년 만에 가장 많았다. 대면서비스업인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도·소매업 취업자는 2013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정부의 직접 일자리가 지탱해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의 취업자 수는 모두 줄었다. 특히 20대와 청년층(15~29세) 취업자 감소 폭이 1998년 이후 최대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은 모습이다.

[취업자 수 22년만에 최악…역대 5번째 감소]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지난해 취업자 수는 269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21만8000명(-0.8%) 줄었다. 지난달 17일 발표된 정부 전망치(-22만명)와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다.
연간 취업자가 전년보다 감소한 건 1984년 오일쇼크로 인한 내수 침체(-7만6000명), 1998년 외환위기(-127만6000명), 2003년 카드 사태(-1만명),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8만7000명)에 이어 이번까지 다섯 번째다. 감소 폭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컸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대면 서비스 업종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 폭이 컸고 임시직과 청년층, 30대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작년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전체 고용률은 60.1%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p) 내려갔다. 2013년(59.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전년보다 0.9%p 하락한 65.9%를 보였다.
지난해 실업자 수는 110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4만5000명(4.2%) 증가했다. 이는 200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실업자 수는 2016년(100만9000명), 2017년(102만3000명), 2018년(107만3000명), 2019년(106만3000명)에 이어 5년 연속 100만명을 넘어섰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실업률은 4.0%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2001년(4%) 이후 최대치를 찍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3.6%로 전년(11.8%)보다 1.8%p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도 25.1%로 전년보다 2.2%p 올랐다. 두 지표 모두 201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대치다.

[숙박·음식점업 7년만에↓…청년층·임시직 직격탄]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5.9%), 운수 및 창고업(5만1000명·3.6%), 농림어업(5만명·3.6%) 등에서 증가했으나 대면 서비스업종인 도매 및 소매업(-16만명·-4.4%), 숙박 및 음식점업(-15만9000명·-6.9%), 교육서비스업(-8만6000명·-4.6%) 등에서 감소했다. 세 업종 모두 2013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보다 5만3000명(-1.2%) 감소하며 5년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다만 감소 폭은 2017년(-1만8000명) 이후 3년 만에 가장 작았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만 취업자가 증가하고 다른 연령층에서 모두 감소했다. 6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 취업자가 감소한 건 1998년 이후 처음이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37만5000명 증가했다. 이 중 65세 이상이 23만6000명, 70세 이상에서 12만4000명 늘었다.
반면 20대(-14만6000명)는 1998년(-56만3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크게 뒷걸음질했다. 이에 따라 청년층(15~29세) 취업자도 1998년(-61만6000명) 이후 가장 많은 18만3000명 감소했다.
30대(-16만5000명)도 2009년(-22만2000명) 이후 11년 만에 최대 폭으로 줄었으며 40대(-15만8000명)와 50대(-8만8000명)도 쪼그라들었다. 50대 감소 폭 또한 1998년(-13만7000명) 이후 가장 컸다.
종사자별 지위를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0만5000명(2.1%) 증가했다. 2005년(27만2000명) 이후 최소 폭으로 늘었다. 전체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중은 전년보다 1.6%p 상승한 54.0%로 조사됐다. 임시근로자는 31만3000명(-6.5%)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9년 이후 최저다. 일용근로자는 10만1000명(-7.1%) 감소하며 2012년(-12만7000명) 이후 최대 감소 폭을 보였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9만명(2.2%) 증가했으나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6만5000명(-10.8%) 감소했다. 이는 1998년(24만7000명) 감소한 이래 최대 폭이다. 무급가족종사자도 3만5000면(-3.3%) 줄었다.
일시휴직자는 83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43만명(105.9%) 늘었다. 일시휴직자 규모와 증감 폭 모두 198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일시 휴직자는 무급 휴직이어도 복귀가 확실하고 무급기간이 6개월이 넘지 않을 경우 취업자로 집계된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67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45만5000명(2.0%)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동월 기준 역대 최대다. 증가 폭은 2009년(49만5000명) 이후 가장 컸다.
이 중 쉬었음 인구는 28만2000명(13.5%) 증가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구직 단념자도 전년보다 7만3000명 늘어난 60만5000명으로 조사됐다. 구직 단념자 규모는 2014년 통계 개편 이래 가장 많았다.

[12월 취업자 62만8000명 감소…10개월째 내리막]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52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62만8000명(-2.3%) 감소했다. 1999년 2월(-65만8000명) 이후 21년 10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1월(56만8000명), 2월(49만2000명)까지 상승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가 국내에서 크게 확산한 3월(-19만5000명)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4월에는 -47만6000명으로 감소 폭이 확대됐으나 5월(-39만2000명), 6월(-35만2000명), 7월(-27만7000명), 8월(-27만4000명)까지 감소 폭이 축소됐다.
그러다가 코로나19 2차 확산 여파로 9월 취업자는 39만2000명 감소했으며 10월(-42만1000명)에는 감소 폭이 더 커졌다. 11월(-27만3000명) 감소 폭이 작아졌지만 지난달 3차 확산으로 다시 크게 확대됐다.
취업자 수가 10개월 연속 감소한 건 1998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 이후 21년 8개월 만이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31만3000명·-13.4%), 도매 및 소매업(-19만7000명·-5.5%), 제조업(-11만명·-2.5%) 등에서 쪼그라들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4만9000명 증가했으나 20대(-25만4000명), 30대(-24만6000명), 40대(-18만3000명), 50대(-14만7000명)에서 뒷걸음질했다.
정 국장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 조정 등이 반영돼 숙박 및 음식점업, 도매 및 소매업 등 대면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됐다"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취업자 수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고용동향과 관련해 "코로나19의 확산·진정에 따라 고용이 등락을 반복하는 추세 속에서 코로나 3차 확산에 따라 고용 충격이 재차 확대됐다"며 "정부는 고용시장 악화에 대응해 마련한 민생 지원, 고용시장 안정화 방안을 차질없이, 신속히 이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104만개 직접일자리 등 공공일자리 사업을 연초부터 신속 착수하고 추가 고용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전국민 고용보험제도 추진 등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하겠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