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코로나 고용충격, 신규 대졸취업자 3~4년차에도 임금감소"

"코로나 고용충격, 신규 대졸취업자 3~4년차에도 임금감소"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3.15

실업률이 치솟은 시기에 구직활동에 나선 사회 초년생들이 취업 당시뿐 아니라 3~4년차까지 임금 손실에 시달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지난해와 올해, 내년 신규 대졸 취업자들의 1~2년차 실질임금이 2.15%, 3~4년차에 1.15% 낮아지는 등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15일 한국은행의 BOK이슈노트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보고서'(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 이상아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 조사역 작성)에 따르면 실업률이 치솟는 경기 침체기에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신규 대졸자는 졸업연도뿐 아니라 취업 3~4년차까지 임금 손실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연도의 실업률이 1%포인트 상승하면 1~2년차 연간 임금은 4.3% 낮아지고, 3~4년차에도 2.3%의 임금손실을 겪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연구팀이 노동시장 충격이 신규 대졸자의 실질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업률을 토대로 한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다. 실업률이 아닌 고용률이나 청년 실업률 변수를 활용해도 일관된 결과가 도출됐다. 지난해 실업률이 과거 10년 평균치 대비 0.5%포인트 정도 상승한 점을 감안할 때 대졸 신규 취업자들의 연간 임금은 1~2년차에 2.15% 낮아지고, 3~4년차에는 1.15%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 차장은 "지난해와 올해, 내년 대졸자까지 상당기간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실업률 상승으로 신규 대졸자들의 하향취업이 증가하고, 기술축적 기회 상실, 비효율적 구직활동, 승진기회 부족 등의 현상이 반복되면서 노동시장 충격이 장기화되는 이른바 '상흔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에게 졸업연도의 실업률 상승은 취업 5~6년차까지 2~5%의 임금손실 타격을 입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여성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결혼이나 출산 결정 등에 따라 노동 공급이 좌우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대학별로는 중하위권과 2년제 대학 신규 졸업자에게 부정적 충격이 크게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인문계 졸업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것으로 추정됐다. 여기서 중하위권 대학은 대학평가 기준 상위 30개 대학을 제외한 4년제 대학을 의미한다.
졸업당시 노동시장 충격은 임금뿐 아니라 대기업 취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졸업연도 실업률이 1%포인트 오를 때 대기업 취업 가능성이 1~2년차에 3.5%포인트, 3~4년차에 2.3%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진입하는 대졸자에게 상당 기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대학과 전공에 따라 차별적일 수 있다"며 "고용상황 악화가 상흔효과, 이력현상 등의 구조적 문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