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피부암 환자, 5년새 42%↑…손발 점 커지면 진단을

피부암 환자, 5년새 42%↑…손발 점 커지면 진단을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2.04.01

보통 백인종에게 많이 발생하고 황인종에게는 드문 암인 피부암으로 진료받는 환자가 국내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인은 손이나 손톱 밑, 발바닥 등에 잘 생겨 이들 부위의 점이 커지면 피부암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1일 경희대병원에 따르면 피부암은 자외선에 취약한 백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고, 멜라닌 색소로 인해 피부가 보호되는 유색인종에게는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층을 중심으로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피부암 환자 수는 2만7211명으로 2016년(1만9236명)에 비해 무려 41.5% 증가했다.
조재영 경희대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평균 수명이 늘어나 인구가 고령화되고 야외 활동의 증가로 자외선 노출량이 증가하면서 피부암이 6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3대 피부암으로는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흑색종이 있다. 기저세포암은 표피 가장 아래 기저층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피부암 중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자외선 노출이 잦은 것이 주원인으로 주로 얼굴과 머리에 발생한다. 원격 전이나 이로 인한 사망은 드물지만, 국소 조직 손상과 변형을 유발한다.
두 번째로 흔한 피부암은 편평세포암이다. 표피 가장 위 각질형성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저세포암보다 악성이므로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암 세포가 전이돼 사망할 수 있다. 기저세포암과 편평세포암은 크기가 2cm 이상이면 예후가 나빠져 작을 때 진단받는 것이 좋다.
조 교수는 “편평세포암의 원인은 자외선,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방사선 노출, 타르와 같은 발암물질, 만성 궤양, 화상 흉터 등으로 비교적 잘 전이되고, 완전히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 위험이 크다"면서 "주로 수술로 절제하고 깊게 침범했거나 조직학적으로 분화가 나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흑색종은 피부의 아래층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대부분 완치되지만 때로는 아주 빨리 진행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뼈, 간, 폐 등으로 전이될 수 있는 만큼 조기 진단과 수술을 통한 절제가 중요하다. 흑색종은 초기에는 보통 피부에 흔한 점처럼 보이지만 6mm 이상으로 점점 커지거나 색깔이 변하는 등 변화가 생기면 반드시 흑색종을 의심해보고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 치료법으로는 광범위한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 면역·표적치료제 투여 등이 있다.
조재영 교수는 “동양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흑색종은 자외선 노출이 적은 손, 발가락, 발바닥에 주로 발생하고, 손발톱에 생기는 경우 검은 선으로 시작해 점차 넓어지고 주변 피부로 번지는 모습을 보인다”며 “침범 깊이가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깊이 1mm 이상의 흑색종은 림프절과 혈관으로 전이할 위험이 커지고, 멀리 떨어진 신체 부위로 전이되면 5년 생존율이 10%로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피부암은 초기에는 점과 구별하기 쉽지 않은 데다 특별한 증상도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따라서 평소 동양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부위인 손톱 밑, 발바닥 등을 잘 살펴보고 자외선 차단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
조 교수는 “피부암은 조직검사가 간단해 진단이 어렵지 않고 조기에 치료하면 대부분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언뜻 봐서는 점과 비슷한 경우가 많고, 초기 증상이 특별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환자들이 많다”며 “피부암은 눈에 잘 띄는 얼굴 부위에 주로 생기기 때문에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일수록 수술 범위도 작다"고 말했다.
이어 “갑자기 생겼거나 기존의 점이 커지거나 구멍이 나고 피가 나는 등의 변화가 생기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외선A와 B를 모두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