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 창업/취업

창업기업 3년 후 생존비율 41%… OECD ‘꼴찌’

창업기업 3년 후 생존비율 41%… OECD ‘꼴찌’

by 뉴시스 2015.05.26

정부의 창업진흥정책에 힘입어 매 창업 기업이 늘고 있지만 3이내 생존율은 41.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0개사가 창업하면 3 후에는 4개사만 살아남는다는 얘기다. 이는 OECD 17개 주요 회원국 중 최하위로 창업은 물론 신생기업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5일 발간한 'IT벤처기업의 죽음의 계곡(Death Valley) 극복과 시사점' 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5만 곳 수준으로 떨어졌던 창업기업숫자가 지난해에는 약 8만 5000곳으로 증가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덕분에 외형적으는 성장을 거둔 셈이다.

하지만 절반에 가까운 기업들이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창업 3 이후 자금난으로 인한 어려움)을 넘지 못하고 창업 3여 만에 폐업했다. 박근혜 정부의 창업 활성화 정책이 외형 성장을 거두긴 했지만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끌어올리는 데는 실패한 셈이다.

보고서는 "정부가 창업기업의 양적 증가에서이제는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 재기-도전이 순환하는 창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계형 창업 63%…기회형 창업 확대 유도해야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적극적인 창업진흥정책을 펴고 있다. 실제로 현 정부 출범이후 창업 관련 예산은 계속 증가했다. 2013 1조3968억원에서 올해는 1조5393억원으로 1425억원 늘어났다.

창조경제혁신센터 개설과 함께 창업지원제도를 보완·신설하며창업 활성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9월 지역혁신과지역창업을 도울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대구에 처음 연 이후 최근 강원센터까지 모두 10곳을 운영하고 있다.

청창업펀드와 창업선도대학·창업보육센터 등 창업보육사업도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기업은 지난 2009까지만해도 연간 5만개에 불과했으나 ▲2010 6만312개 ▲2011 6만5110개 ▲2012 7만4162개 ▲2013 7만5574개에 이어 지난해에는 8만4697개까지 늘어났다.

문제는 '생계형 창업'에만 집중된 나머지 절반 이상의 창업 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무릎을 꿇고 만다는 점이다. OECD의 2013 조사에 따르면 3 후 생존율은 ▲룩셈부르크 66.8%, ▲호주62.8% ▲이스라엘 55.4% ▲미국 57.6% ▲이탈리아 54.8% 등인 반면 한국은 41.0%에 그쳤다. OECD 17개 주요 회원국 중 최하위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3을 기준으로신규 사업자의 75.2%는 평균 5 미만에 폐업했고 10 이상 사업을 계속한 경우는 8.2%에 그쳤다.

보고서는 "부가가치가 낮고 신규 진입이 용이한생계형 창업의 비중이 63%로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라며 "특히 숙박·도소매업과 같은 대표적인 생계형 업종은 창업준비 소홀과 과당경쟁으로 생존율이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IT 등 경제 기여도가 큰 기회형창업은 창업 중기(3~7)에 찾아오는 매출 정체, 자금 고갈 등의 위기에 노출돼 좌절하는 경우가 많았다"고덧붙였다.

정부가 생계형 창업에만 집중된 현상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업종과 관계없이 숫자를 늘리는 데 급급했다는얘기다. 경제 기여도가 큰 '기회형 창업'기업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을 때 필요한 정책자금 지원 등으로 소홀히 함으로써'재기-도전'이 이어지는 생태계를 구축하는데실패한 것도 큰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대표적 기회형 창업인 기술기반 창업의 경우 자금경색으로'죽음의 계곡' 을 넘지 못한다. 대다수 기업들이이렇다 할 담보가 없기 때문에 은행 대출을 받지 못한다. 엔젤·벤처캐피털의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아 자금수혈이 원활하지 못해 결국 문을 닫게 된다.

이는 정부의 정책자금이 기술력이나 사업성보다는 리스크(위험)가 적은 우량기업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금의 수요-공급이 맞아떨어지지 않아 정작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은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감사원의 '창업 및 벤처기업지원·육성 실태' 조사에서도 이같은 현상이 그대로 드러난다. 감사원에 따르면 기술보증기금의 신규보증 업체 중 신용등급 B이상인업체 비중이 56.7%(2008~2013 2분기)에 달했다. 절반 이상이 높은 신용등급을 받은 업체에 몰린 것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창업 5 미만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비중도 2009 27.7%에서 2013 5월에는 16.6%로 11.1%포인트나 줄어들었다. 정부의 정책자금이 리스크를 피하느라정작 필요한 기업에는 수혈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미국 등 창업강국은 실패-재도전의 병목현상을해소함으로써 재창업을 이끌어 내고 있다. 실패경험을 사회적 자산으로 만들어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있는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중소기업청의 2013 조사에따르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평균 재창업 횟수가 1.8회인 반면 한국은 0.8회에 그쳤다.

◇죽음의 계곡 벗어나려면…'시장변화' 선제적 대응

보고서는 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에 직면했을 때의 해법으로 시장변화에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응할 것을 제시했다. 창업 초기 성공에 안주하지 말고 시장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인 연구개발(R&D)투자와 끊임없는 신규 사업 발굴, 경영시스템을 구축해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역할 변화도 요구했다. 창업기업의 양적 증가에만관심을 두지 말고 재기와 도전이 순환되는 생태계를 구축해 생존율을 올리고 질적 내실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정부가 창업자금 지원제도를 추가로 신설하기보다 '죽음의계곡' 시기 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공급 효율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패경험을 보유한 재기 창업인을 대상으로 재창업지원을 확대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한다.

정책금융의 모험자본 지원 확대와 기업공개(IPO) 이외에벤처금융의 투자회수경로를 다각화해 투자수요와 공급 불균형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무역협회 김보경 연구원은 "지속가능한 창업을위해서는 창업기업의 양적 증가뿐 아니라 재기와 도전이 순환하는 생태계 구축을 통해 생존율을 끌어올리는 등 질적 내실화를 함께 추구해야한다"면서 "실패-재도전의병목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실패한 창업 기업인의 재창업을 이끌어내고 재기지원을 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 ·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