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중류 화학물질 39종 기준치 이내…"먹는물 이상無"
낙동강 중류 화학물질 39종 기준치 이내…"먹는물 이상無"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0.12.17
낙동강 중류 수질에 포함된 화학물질 39종 모두 국내외 수질·먹는물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됐다. 낙동강 중류 수계를 이용한 정수 처리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기준이 없는 79종의 화학물질 검출량은 다른 수계보다 낮거나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의 낙동강 중류 '2019년 미량화학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왜관수질측정센터가 조사한 이번 결과는 구미 국가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화학물질과 낙동강 중류 수계에 존재하는 미량 화학물질을 낙동강 중류 왜관지점에서 주 2회씩 즉정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낙동강 유입 가능성이 높은 미량 화학물질 204종이다. 용도별로 산업용 10종, 농약류 38종, 의약물질 37종, 금속류 27종이다.
204종 중 국내 수질환경기준, 먹는물수질기준, 세계보건기구(WHO) 먹는물기준 등 국내외 기준이 있는 물질은 82종이다. 이외 122종은 선제 관리 차원에서 조사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중류 수질에서 204종 중 118종이 검출됐다. 용도별로 산업용 32종, 농약류 34종, 의약물질 31종, 금속류 21종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118종 중 국내외 기준이 있는 39종은 모두 기준보다 낮게 검출돼 현 정수 공정 처리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영풍 석포제련소 지하수로 유출됐던 카드뮴(Cd)도 수질·먹는물 기준보다 매우 낮게 측정됐다.
국내외 기준이 없는 79종은 국내 다른 수계,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산업용 물질은 여름철인 6~8월에 농도가 높았다. 이는 배출업소 가동률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농약류는 여름철 사용량이 많은 5~9월, 의약물질은 갈수기인 12~4월에 농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금속류는 기간에 따라 뚜렷한 농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또 비표적(non-target) 분석기법을 이용해 204종 외에 수계에 존재할 수 있는 신종 오염물질을 조사했다. 비표적 분석기법은 수계에 존재할 수 있는 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을 미리 구축된 정보와 비교해 검출 빈도와 농도를 추정하는 분석방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기준이 없는 검출물질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들 물질에 대해 관리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낙동강 하류 지역에도 수질측정센터를 추가로 건립해 낙동강 수계 미량 화학물질 감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낙동강 본류에서 취수하는 정수장에 대해서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을 완료하고, 보다 강화된 정수처리를 위해 분말활성탄 투입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며 "필요 시 미량 화학물질을 먹는물 감시항목으로 지정하는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의 낙동강 중류 '2019년 미량화학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왜관수질측정센터가 조사한 이번 결과는 구미 국가산업단지에서 배출하는 화학물질과 낙동강 중류 수계에 존재하는 미량 화학물질을 낙동강 중류 왜관지점에서 주 2회씩 즉정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낙동강 유입 가능성이 높은 미량 화학물질 204종이다. 용도별로 산업용 10종, 농약류 38종, 의약물질 37종, 금속류 27종이다.
204종 중 국내 수질환경기준, 먹는물수질기준, 세계보건기구(WHO) 먹는물기준 등 국내외 기준이 있는 물질은 82종이다. 이외 122종은 선제 관리 차원에서 조사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중류 수질에서 204종 중 118종이 검출됐다. 용도별로 산업용 32종, 농약류 34종, 의약물질 31종, 금속류 21종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118종 중 국내외 기준이 있는 39종은 모두 기준보다 낮게 검출돼 현 정수 공정 처리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영풍 석포제련소 지하수로 유출됐던 카드뮴(Cd)도 수질·먹는물 기준보다 매우 낮게 측정됐다.
국내외 기준이 없는 79종은 국내 다른 수계,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산업용 물질은 여름철인 6~8월에 농도가 높았다. 이는 배출업소 가동률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농약류는 여름철 사용량이 많은 5~9월, 의약물질은 갈수기인 12~4월에 농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금속류는 기간에 따라 뚜렷한 농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또 비표적(non-target) 분석기법을 이용해 204종 외에 수계에 존재할 수 있는 신종 오염물질을 조사했다. 비표적 분석기법은 수계에 존재할 수 있는 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을 미리 구축된 정보와 비교해 검출 빈도와 농도를 추정하는 분석방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기준이 없는 검출물질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들 물질에 대해 관리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낙동강 하류 지역에도 수질측정센터를 추가로 건립해 낙동강 수계 미량 화학물질 감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낙동강 본류에서 취수하는 정수장에 대해서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을 완료하고, 보다 강화된 정수처리를 위해 분말활성탄 투입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며 "필요 시 미량 화학물질을 먹는물 감시항목으로 지정하는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