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끼임' 사망 4년간 272건…절반이 수리ㆍ정비중
제조업 '끼임' 사망 4년간 272건…절반이 수리ㆍ정비중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3.09
최근 4년간 제조업 사업장에서 발생한 '끼임' 산재 사망사고의 절반 이상은 수리나 정비 등 일상적인 작업이 아닌 데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지난 2016~2019년 4년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와 관련된 '중대재해조사보고서' 272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중대재해조사보고서는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중대재해에 대해 고용부와 공단이 원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작성하는 보고서다.
특히 중대재해 중 끼임 사망사고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연구원이 2013~2019년 7년간 제조업에서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 1658명을 분석한 결과 30.6%가 끼임에 의해 발생했다. 전체 업종을 대상으로 한 비율(11.6%)보다 약 3배 높은 수준이다.
4년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272건의 원인을 보면 54%(146건)가 수리,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지는 '비정형 작업' 중 발생했다. 작업 방법이나 순서 등이 표준화돼 있지 않은 업무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실제 비정형 작업이 이뤄지는 시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형 작업보다) 비정형 작업이 훨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기인물이 되는 기계의 종류별로는 분류가 어려운 163건을 제외한 나머지 109건 중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사고가 1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천장 크레인(17건), 지게차(17건), 배합 혼합기(10건)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272건 중 방호설비 설치대상은 132건이었다. 이 중 미설치로 인한 사망건수는 전체의 87.1%를 차지하는 115건이었다. 반면 방호설비를 설치했는데도 사고가 발생한 건수는 4건에 불과했다.
이번 분석 자료는 향후 산재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수립과 대책 마련에 활용될 예정이다.
김은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산업 현장에서 여전히 끼임 사고와 같은 재래형 산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도 산재예방 연구개발을 통해 현장성 높은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9일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지난 2016~2019년 4년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와 관련된 '중대재해조사보고서' 272건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중대재해조사보고서는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중대재해에 대해 고용부와 공단이 원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작성하는 보고서다.
특히 중대재해 중 끼임 사망사고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연구원이 2013~2019년 7년간 제조업에서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 1658명을 분석한 결과 30.6%가 끼임에 의해 발생했다. 전체 업종을 대상으로 한 비율(11.6%)보다 약 3배 높은 수준이다.
4년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272건의 원인을 보면 54%(146건)가 수리,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지는 '비정형 작업' 중 발생했다. 작업 방법이나 순서 등이 표준화돼 있지 않은 업무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실제 비정형 작업이 이뤄지는 시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형 작업보다) 비정형 작업이 훨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기인물이 되는 기계의 종류별로는 분류가 어려운 163건을 제외한 나머지 109건 중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사고가 1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천장 크레인(17건), 지게차(17건), 배합 혼합기(10건)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272건 중 방호설비 설치대상은 132건이었다. 이 중 미설치로 인한 사망건수는 전체의 87.1%를 차지하는 115건이었다. 반면 방호설비를 설치했는데도 사고가 발생한 건수는 4건에 불과했다.
이번 분석 자료는 향후 산재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수립과 대책 마련에 활용될 예정이다.
김은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산업 현장에서 여전히 끼임 사고와 같은 재래형 산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도 산재예방 연구개발을 통해 현장성 높은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