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해양쓰레기 13.8만t 수거…2018년 대비 45% 증가
지난해 해양쓰레기 13.8만t 수거…2018년 대비 45% 증가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3.10
지난해 전국 연안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량이 13만8000t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8년(9만5000t)보다 약 45% 늘어난 수치다.
10일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가 발표한 '최근 3년간(2018~2020년) 해양 쓰레기 수거량'과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안에서 수거한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지난 2018년보다 45% 늘어난 13만8000t을 수했다. 또 해안 쓰레기 가운데 플라스틱이 평균 83%(개수 기준)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해수부와 지자체 등이 수거한 해안 쓰레기, 침적 쓰레기, 부유 쓰레기 내역을 해양환경정보포털을 통해 집계한 결과다. 또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는 해수부가 전국 바닷가 40곳에서 매년 6차례에 걸쳐 정기적으로 조사한 해안 쓰레기의 양과 종류 등에 집계한 통계다.
최근 3년간 해양 쓰레기가 수거된 장소를 기준으로 바닷가가 약 7만8000t(69%)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속에 쌓여 있는 침적 쓰레기가 약 2만9000t(25%), 바다 위에 떠다니는 부유 쓰레기가 약 7000t(6%)으로 뒤를 이었다.
해양 쓰레기 중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인해 발생한 재해 쓰레기(해안ㆍ부유 쓰레기)의 수거량이 2018년 약 1만4000t에서 2020년 4만8000t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해안 쓰레기 전체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8000t에서 2020년 약 11만2000t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침적 쓰레기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2000t에서 2020년 약 1만8000t으로 57%(약 2만4000t) 감소했다.
해안 쓰레기 중 평균 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유형(개수 기준)은 음료수병, 뚜껑 등 경질형이 2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스티로폼 부표 등 발포형(20.7%), 어업용 밧줄 등 섬유형(17.1%), 비닐봉투 등 필름형(11.8%)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발 해안 쓰레기는 개수 기준으로 전체 해안 쓰레기의 1.3%로, 중국에서 온 쓰레기가 대부분(95%)을 차지했다.
해안 쓰레기 수거량이 늘어난 것은 최근 태풍 등으로 재해 쓰레기가 다수 발생한 것과 정부의 해양 쓰레기 관리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19년부터 전국 바닷가에 상시 배치돼 해안 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하고 있는 바다환경지킴이(해양환경미화원)의 역할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에 1000여명의 바다환경지킴이가 수거한 해안 쓰레기량은 약 3만3000t으로, 전체 해안 쓰레기 수거량의 약 29%를 차지했다.
최성용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가장 효과적인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은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육상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천에 설치하는 차단막 개수를 늘리고, 연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의 약 54%를 차지하는 폐어구ㆍ부표를 줄이기 위해 2022년 하반기에 어구ㆍ부표 보증금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10일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가 발표한 '최근 3년간(2018~2020년) 해양 쓰레기 수거량'과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안에서 수거한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지난 2018년보다 45% 늘어난 13만8000t을 수했다. 또 해안 쓰레기 가운데 플라스틱이 평균 83%(개수 기준)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해수부와 지자체 등이 수거한 해안 쓰레기, 침적 쓰레기, 부유 쓰레기 내역을 해양환경정보포털을 통해 집계한 결과다. 또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는 해수부가 전국 바닷가 40곳에서 매년 6차례에 걸쳐 정기적으로 조사한 해안 쓰레기의 양과 종류 등에 집계한 통계다.
최근 3년간 해양 쓰레기가 수거된 장소를 기준으로 바닷가가 약 7만8000t(69%)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속에 쌓여 있는 침적 쓰레기가 약 2만9000t(25%), 바다 위에 떠다니는 부유 쓰레기가 약 7000t(6%)으로 뒤를 이었다.
해양 쓰레기 중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인해 발생한 재해 쓰레기(해안ㆍ부유 쓰레기)의 수거량이 2018년 약 1만4000t에서 2020년 4만8000t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해안 쓰레기 전체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8000t에서 2020년 약 11만2000t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침적 쓰레기 수거량은 2018년 약 4만2000t에서 2020년 약 1만8000t으로 57%(약 2만4000t) 감소했다.
해안 쓰레기 중 평균 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유형(개수 기준)은 음료수병, 뚜껑 등 경질형이 2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스티로폼 부표 등 발포형(20.7%), 어업용 밧줄 등 섬유형(17.1%), 비닐봉투 등 필름형(11.8%)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발 해안 쓰레기는 개수 기준으로 전체 해안 쓰레기의 1.3%로, 중국에서 온 쓰레기가 대부분(95%)을 차지했다.
해안 쓰레기 수거량이 늘어난 것은 최근 태풍 등으로 재해 쓰레기가 다수 발생한 것과 정부의 해양 쓰레기 관리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19년부터 전국 바닷가에 상시 배치돼 해안 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하고 있는 바다환경지킴이(해양환경미화원)의 역할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에 1000여명의 바다환경지킴이가 수거한 해안 쓰레기량은 약 3만3000t으로, 전체 해안 쓰레기 수거량의 약 29%를 차지했다.
최성용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가장 효과적인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은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육상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천에 설치하는 차단막 개수를 늘리고, 연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의 약 54%를 차지하는 폐어구ㆍ부표를 줄이기 위해 2022년 하반기에 어구ㆍ부표 보증금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