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공포에…5월 금통위에 쏠린 눈
인플레 공포에…5월 금통위에 쏠린 눈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5.14
인플레이션 충격 등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정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달 말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금리 인상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3일 대다수 전문가들은 한은 금통위가 오는 27일 개최하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7월부터 8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내 경제가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부진 등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다.
문제는 물가다. 물가상승은 금리인상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지난해 동월대비 2.3% 뛰어 올랐다.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관리 목표인 2%대를 넘어선 것도 2018년 11월(2.0%)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4월 소비자물가가 기저효과로 인한 일시적인 영향이 크고, 미국 역시 당장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는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최근 물가 상승은 지난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1%에 그치는 등 기저효과 영향이 크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며 "민간소비 등이 아직 안 좋기 때문에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기조로 가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도 낮게 봤다. 박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려면 물가상승이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 것이 가격에 반영돼 다시 물가가 올라야 한다"며 "하지만 고용시장을 보면 4월 신규 취업자수는 26만6000명에 그쳐 예상치의 4분의 1 수준이지만 채용공고 규모는 역대 최대 규모로 미스매치를 보이고 있는 등 고용지표가 부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은 금통위에서는 물가 상승, 가계부채 등을 우려해 금리 인상을 앞당겨야 한다는 일부 매파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15일 열린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글로벌 팬데믹 충격에 대응한 현재와 같은 수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이 미래 금융안정을 저해하는 잠재적 요인들을 누적해 오고 있는 데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고 우리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질 경우에는 지금보다 금융안정에 더 무게를 둔 통화정책 운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도 "금융안정 이슈에 대한 통화정책적 차원의 고려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이다.
한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리고 같은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춘 뒤 1년째 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13일 대다수 전문가들은 한은 금통위가 오는 27일 개최하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7월부터 8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내 경제가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부진 등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다.
문제는 물가다. 물가상승은 금리인상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지난해 동월대비 2.3% 뛰어 올랐다.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관리 목표인 2%대를 넘어선 것도 2018년 11월(2.0%)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4월 소비자물가가 기저효과로 인한 일시적인 영향이 크고, 미국 역시 당장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는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최근 물가 상승은 지난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1%에 그치는 등 기저효과 영향이 크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며 "민간소비 등이 아직 안 좋기 때문에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기조로 가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도 낮게 봤다. 박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려면 물가상승이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 것이 가격에 반영돼 다시 물가가 올라야 한다"며 "하지만 고용시장을 보면 4월 신규 취업자수는 26만6000명에 그쳐 예상치의 4분의 1 수준이지만 채용공고 규모는 역대 최대 규모로 미스매치를 보이고 있는 등 고용지표가 부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은 금통위에서는 물가 상승, 가계부채 등을 우려해 금리 인상을 앞당겨야 한다는 일부 매파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15일 열린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글로벌 팬데믹 충격에 대응한 현재와 같은 수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이 미래 금융안정을 저해하는 잠재적 요인들을 누적해 오고 있는 데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고 우리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질 경우에는 지금보다 금융안정에 더 무게를 둔 통화정책 운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도 "금융안정 이슈에 대한 통화정책적 차원의 고려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이다.
한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리고 같은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춘 뒤 1년째 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