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절벽·자영업 부진에 근로·사업소득 4분기 연속↓…'역대 최장'
고용절벽·자영업 부진에 근로·사업소득 4분기 연속↓…'역대 최장'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1.05.20
코로나19 여파로 장기화된 고용난과 자영업 업황 부진의 영향으로 가계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동시에 4개 분기 연속 하락했다.
고용과 관련된 수입은 줄었지만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이 큰 폭 늘어나면서 전체 가계 소득은 증가했다. 연초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지출도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재난지원금으로 버틴 1분기 가계 소득]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가구(1인 이상·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38만4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0.4% 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전소득은 62만원으로 16.5% 증가하면서 전체 가계 소득 증가를 떠받쳤다.
특히, 정부에서 지급하는 지원금 등을 포함하는 공적이전소득이 38만8000원으로 27.9% 증가했다.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인한 자영업자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면서 관련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친지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은 23만2000원으로 2.4% 줄었다.
전체 소득에서 64.5%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은 281만6000원으로 1.3% 감소했다. 연초에도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시장 어려움이 지속된 탓이다.
또한 자영업 업황도 개선되지 않으면서 사업소득은 77만9000원으로 1.6% 줄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이는 역대 가장 긴 동반 추락 기록이다.
이외에 배당, 이자, 개인연금을 포함하는 재산소득은 3만8000원으로 14.4% 쪼그라들었다. 경조소득과 실비보험금, 복권당첨금 등 일시적 수입을 뜻하는 비경상소득도 26.6% 감소한 11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이 줄었다"고 진단했다.
[살아나는 소비심리…소득 감소에도 씀씀이 커져]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1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1.6% 늘었다.
가계 지출이 플러스로 돌아선 것은 2016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연초 들어 소비심리가 회복되면서 씀씀이가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항목별로 보면 코로나19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1%), 식료품·비주류음료(7.3%) 등의 소비가 증가했다.
월세 등 실제 주거비와 주택 유지 및 수선, 연료비 등을 포함하는 주거·수도·광열(6.8%) 지출도 늘었다. 외출과 관련된 의류·신발(9.3%) 품목의 소비가 늘어난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외에 교육(8.0%), 주류·담배(6.0%), 통신(1.5%) 등에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대로 오락·문화(-9.4%), 음식·숙박(-2.4%), 교통(-2.9%) 등 대면 서비스업 관련 소비 부진은 지속됐다.
보건(-4.5%) 관련 지출도 줄었다. 특히, 마스크 등 의료용소모품(-42.4%), 입원서비스(-11.5%)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세금, 국민연금 납입금, 건강보험료, 대출 이자, 가족 용돈, 교회 헌금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나가는 비소비지출은 87만3000원으로 1.3% 감소했다.
정부의 방역 조치 강화로 개인적인 외출·모임이 줄고 종교시설도 제한적으로 운영되면서 관련 지출도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가구간 이전지출(-9.9%),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8.8%)은 줄어든 반면 경상조세(1.4%), 연금기여금(4.5%), 사회보험료(5.8%)는 증가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1000원으로 0.8% 증가했다. 이는 실제로 가구가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뜻한다.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은 68.9%로 0.5%포인트(p) 뛰었다. 100만원을 벌면 68만9000원을 쓴다는 의미로, 2016년 3분기 이후 첫 증가 전환이다.
처분가능소득과 소비지출의 차이를 나타낸 흑자액은 109만2000원으로 0.9% 감소했다. 흑자율은 31.1%로 0.5%p 하락했다.
정 국장은 "모임 제한 등의 영향으로 비소비지출은 감소했지만 연초 도·소매 내수 개선과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지출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고용과 관련된 수입은 줄었지만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이 큰 폭 늘어나면서 전체 가계 소득은 증가했다. 연초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지출도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재난지원금으로 버틴 1분기 가계 소득]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가구(1인 이상·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38만4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0.4% 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전소득은 62만원으로 16.5% 증가하면서 전체 가계 소득 증가를 떠받쳤다.
특히, 정부에서 지급하는 지원금 등을 포함하는 공적이전소득이 38만8000원으로 27.9% 증가했다.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인한 자영업자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면서 관련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친지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은 23만2000원으로 2.4% 줄었다.
전체 소득에서 64.5%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은 281만6000원으로 1.3% 감소했다. 연초에도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시장 어려움이 지속된 탓이다.
또한 자영업 업황도 개선되지 않으면서 사업소득은 77만9000원으로 1.6% 줄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이는 역대 가장 긴 동반 추락 기록이다.
이외에 배당, 이자, 개인연금을 포함하는 재산소득은 3만8000원으로 14.4% 쪼그라들었다. 경조소득과 실비보험금, 복권당첨금 등 일시적 수입을 뜻하는 비경상소득도 26.6% 감소한 11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이 줄었다"고 진단했다.
[살아나는 소비심리…소득 감소에도 씀씀이 커져]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1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1.6% 늘었다.
가계 지출이 플러스로 돌아선 것은 2016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연초 들어 소비심리가 회복되면서 씀씀이가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항목별로 보면 코로나19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1%), 식료품·비주류음료(7.3%) 등의 소비가 증가했다.
월세 등 실제 주거비와 주택 유지 및 수선, 연료비 등을 포함하는 주거·수도·광열(6.8%) 지출도 늘었다. 외출과 관련된 의류·신발(9.3%) 품목의 소비가 늘어난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외에 교육(8.0%), 주류·담배(6.0%), 통신(1.5%) 등에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대로 오락·문화(-9.4%), 음식·숙박(-2.4%), 교통(-2.9%) 등 대면 서비스업 관련 소비 부진은 지속됐다.
보건(-4.5%) 관련 지출도 줄었다. 특히, 마스크 등 의료용소모품(-42.4%), 입원서비스(-11.5%)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세금, 국민연금 납입금, 건강보험료, 대출 이자, 가족 용돈, 교회 헌금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나가는 비소비지출은 87만3000원으로 1.3% 감소했다.
정부의 방역 조치 강화로 개인적인 외출·모임이 줄고 종교시설도 제한적으로 운영되면서 관련 지출도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가구간 이전지출(-9.9%),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8.8%)은 줄어든 반면 경상조세(1.4%), 연금기여금(4.5%), 사회보험료(5.8%)는 증가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1000원으로 0.8% 증가했다. 이는 실제로 가구가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뜻한다.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은 68.9%로 0.5%포인트(p) 뛰었다. 100만원을 벌면 68만9000원을 쓴다는 의미로, 2016년 3분기 이후 첫 증가 전환이다.
처분가능소득과 소비지출의 차이를 나타낸 흑자액은 109만2000원으로 0.9% 감소했다. 흑자율은 31.1%로 0.5%p 하락했다.
정 국장은 "모임 제한 등의 영향으로 비소비지출은 감소했지만 연초 도·소매 내수 개선과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지출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