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 생활정보

"친환경 제품 절반, 인증마크 사용…일부는 인증번호 無"

"친환경 제품 절반, 인증마크 사용…일부는 인증번호 無"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2.02.04

친환경, 유기농, 무농약, 녹색인증, 무항생제 등 법정 인증마크를 사용하는 친환경 일부 제품은 인증번호 확인이 어려워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180개 친환경 관련 제품의 광고를 조사한 결과, 50.6%가 환경성 인증마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부 제품은 인증번호 확인이 어려웠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11번가, G마켓, 옥션, 인터파크, 쿠팡 등 5개 오픈마켓에서 식·음료품, 유아용품, 생활용품, 개인 위생용품 4개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법정인증마크, 업계자율마크, 해외인증마크 중 한 가지 이상의 환경성 인증마크를 사용해 광고한 제품은 50.6%로 집계됐다. 법정인증마크를 사용한 제품이 65.9%로 가장 많았고, 해외인증마크는 39.6%, 업계자율마크는 5.5% 순이었다.
하지만 법정인증마크를 사용한 60개 제품 중 31.7%는 인증번호를 게시하지 않거나 크기가 작아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해당 인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36개 제품에 사용된 해외인증마크의 종류는 20가지로 다양했으며, OCS 인증(30.6%), FSC 인증(25%), 노르딕 에코라벨(16.7%) 순으로 많이 사용됐다.
업계자율마크를 사용한 5개 제품 중 1개 제품은 인증이 폐지된 업계자율마크를 사용하고 있었다.
광고에서 많이 사용된 용어는 친환경이 8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천연(31.1%), 분해성(25.0%), 유기(22.8%) 순이었다. 식·음료품은 유기·무농약, 유아용품은 분해성·무독성·천연, 생활용품은 천연·분해성, 개인 위생용품은 천연·분해성 표현을 많이 썼다.
유아용품의 경우 2개 이상 환경성 용어를 사용한 제품이 64.3%에 달했다. 2개 제품은 환경성 용어를 최대 7개 사용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법정 인증마크와 환경성 용어를 사용해 광고하는 15개 사업자에게 인증번호 등 친환경 제품의 근거를 함께 기재하도록 권고했다"며 "4개 사업자는 인증번호를 기재했으며 나머지 11개 사업자는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