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경제·생활

경제·생활

전국 꿀벌 대량 폐사…응애·말벌에 이상 기후 겹친 탓

전국 꿀벌 대량 폐사…응애·말벌에 이상 기후 겹친 탓

by 뉴시스 기사·사진 제공 2022.03.14

최근 전국의 양봉농가에서 월동 중인 꿀벌이 대규모 피해를 입은 이유가 꿀벌응애류(기생충),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 기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1월 7일부터 2월 24일까지 전국 9개 도 34개 시·군 99호 양봉농가를 대상으로 월동벌 피해 민관 합동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농진청,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 한국양봉협회가 합동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전국에 걸쳐 꿀벌 폐사가 발생했다.
전남, 경남, 제주 지역의 피해는 다른 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지자체를 중심으로 정확한 전국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 피해 봉군(벌떼)에서 응애가 관찰됐다.
일부 농가의 경우 꿀벌응애류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여러 약제를 최대 3배 이상 과도하게 사용해, 월동 전 꿀벌 발육에 나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농가에서 응애류의 발생을 인지하지 못했고, 지난해 8월까지 월동 일벌 양성 시기에 응애류가 급증하며 월동 꿀벌이 약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농진청은 말벌류 중 등검은말벌은 일벌 포획력이 탁월해 유인제 또는 유인 트랩으로 완전하게 방제하기 어려워 지난해 10월 늦게까지 피해를 준 것으로 추정했다.
방제가 매우 어려운 기생성 응애류와 포식성 말벌류는 월동 봉군 양성 시기인 8∼9월에 최대로 번식하는 특성이 있다. 응애류는 발육 번데기에 기생하고, 말벌류는 벌통 출입구에서 일벌을 포획해 막대한 피해를 준다.
특히 지난해 9∼10월에는 저온 현상이 발생해 꿀벌의 발육이 원활하지 못했고, 11∼12월에는 고온으로 꽃이 이른 시기에 개화하는 현상이 나타나 봉군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약화된 봉군으로 월동 중이던 일벌들이 화분 채집 등의 외부 활동으로 체력이 소진됐고, 외부 기온이 낮아지면서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피해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농업경영회생자금과 농축산경영자금 등 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꿀벌 구제 약품이 신속히 지원되도록 조치했다.
농진청은 정확한 피해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 현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 기술과 무인기(드론) 이용 등 검은말벌 조기 방제 기술을 개발하고, 월동 꿀벌 관리 기술 자료 발간과 배포를 통해 현장 기술 지원 등을 확대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도 응애 구제제 적정 사용 요령 교육을 확대하고, 질병 조기 진단과 기생성 응애류의 최적 약제 선발을 강화한다. 아울러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로 안전성과 효능이 뛰어난 천연물 유래 응애 구제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