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상 작가님] 인생에 대한 싱거운 질문
[권영상 작가님] 인생에 대한 싱거운 질문
by 권영상 작가님 2021.02.04
어렸을 적부터 싱거운 소리를 잘 했다. 대책 없는 소리라든가, 대답하고 싶어 하지 않는 걸 드러내놓고 묻거나 하여 주위 사람들을 당황스럽게 할 때가 많았다. 어쩌면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큰 막내 기질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래 교류해 온, 연세 많은 분들을 만날 때도 그렇다. 얼마간 대화하다가도 기분이 상승하면 괜히 싱거운 질문을 드리곤 한다.
“살아보시니 어떠세요? 사람의 인생이란 게 정말 짧은가요, 살 만한가요?”
나는 살아오면서 이런 게 가끔 궁금했다. 생명에 대한 비밀 같은 거. 상대적이긴 하나 정말 인생이란 게 긴 건지 짧은 건지. ‘인생은 짧다’는 말은 어렸을 적부터 수없이 들어왔다. 그러니 당연히 인생이 길더라거나 마침맞더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한데 많이 살지는 않았지만 살아오면서 가끔 살아온 날을 돌이켜 볼 때마다 느끼는 게 있다. 살아온 날이 도달할 수 없을 만큼 멀리 아득하다는 거다.
정말이지 인생이란 게 살아볼 게 없을 만큼 잠깐이라는 말은 질실인가. 그런 궁금함을 그냥 넘기지 못해 연로한 분들께 질문을 드려보지만 다들 대답을 피했다. 대답하기에 석연찮은 질문이라 그런 듯했다. 다른 것도 아닌 자신의 수명에 관한 대답을 스스로 규정짓기 싫어서가 아닐까 싶었다. 길다고 말하자니 그렇고, 짧다고 말하는 것 역시 수명에 대한 욕심과 생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 같아 대답을 피하는 것 같았다.
하여튼 나는 좀 싱거운 사람이 틀림없다. 오래 사신 분들에게 꺼림칙한 대답을 직접 듣고 싶어 한다는 것이 그렇다. 이게 싱거운 사람의 싱거운 특성이 아니고 뭘까.
근데 어제다. 내 방 묵은 책 더미에서 그 대답을 찾을만한 책 한 권을 만났다. 이산 김광섭 시인의 시선집 ‘겨울날’이다. 김광섭 시인은 한때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시 ‘성북동 비둘기’로 잘 알려진 분이다.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이 시 또한 1970년대 유심초가 부른 ‘저녁에’라는 노래로 잘 알려졌다.
나는 그분의 시집 ‘겨울날’의 먼지를 털어내고 단풍잎처럼 바싹 마른 책갈피를 넘기다가 맨 뒷장을 열었다. ‘1975년 눈 내리는 날에’라는 내 만년필 글씨가 적혀 있다. 그러니까 45년 전, 오늘처럼 눈 내리는, 기억에도 없는 아련한 날에 산 모양이다.
시인 김광섭은 1905년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고향의 중동학교에서 영어교사를 한다. 그러다가 해방 후 대통령 공보비서관을 지냈는데, 1974년 일지사에서 ‘김광섭 시전집’을 냈다. 그 전집 산문에 그의 이런 글이 있다.
‘인생은 짧고 무상하지만 아무 일도 못할 정도로 짧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고 한 말이다. 앞서 내가 여쭈어본 분으로부터 듣지 못한 대답을 여기서 듣는 것 같았다.
다들 인생은 짧다 짧다 하지만 세상에 나와 주어진 일을 못할 정도로 짧은 것은 아니라는 그분의 말이 솔직하게 다가왔다. 수명의 한계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이 지상에서 천상의 그 별과 교류하는, 시인의 우주적 관조가 엿보이는 말이었다.
‘인생은 짧다’는 말은 분명히 상대적이다. 누구에게는 길고 누구에겐 짧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들 짧다고 할 때 짧은 것만은 아니라고 하는 그의 말이 귀하고 아름답다. 싱거운 소리 덕분에 인생의 비밀 한 점을 어렴풋이 본다.
오래 교류해 온, 연세 많은 분들을 만날 때도 그렇다. 얼마간 대화하다가도 기분이 상승하면 괜히 싱거운 질문을 드리곤 한다.
“살아보시니 어떠세요? 사람의 인생이란 게 정말 짧은가요, 살 만한가요?”
나는 살아오면서 이런 게 가끔 궁금했다. 생명에 대한 비밀 같은 거. 상대적이긴 하나 정말 인생이란 게 긴 건지 짧은 건지. ‘인생은 짧다’는 말은 어렸을 적부터 수없이 들어왔다. 그러니 당연히 인생이 길더라거나 마침맞더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한데 많이 살지는 않았지만 살아오면서 가끔 살아온 날을 돌이켜 볼 때마다 느끼는 게 있다. 살아온 날이 도달할 수 없을 만큼 멀리 아득하다는 거다.
정말이지 인생이란 게 살아볼 게 없을 만큼 잠깐이라는 말은 질실인가. 그런 궁금함을 그냥 넘기지 못해 연로한 분들께 질문을 드려보지만 다들 대답을 피했다. 대답하기에 석연찮은 질문이라 그런 듯했다. 다른 것도 아닌 자신의 수명에 관한 대답을 스스로 규정짓기 싫어서가 아닐까 싶었다. 길다고 말하자니 그렇고, 짧다고 말하는 것 역시 수명에 대한 욕심과 생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 같아 대답을 피하는 것 같았다.
하여튼 나는 좀 싱거운 사람이 틀림없다. 오래 사신 분들에게 꺼림칙한 대답을 직접 듣고 싶어 한다는 것이 그렇다. 이게 싱거운 사람의 싱거운 특성이 아니고 뭘까.
근데 어제다. 내 방 묵은 책 더미에서 그 대답을 찾을만한 책 한 권을 만났다. 이산 김광섭 시인의 시선집 ‘겨울날’이다. 김광섭 시인은 한때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시 ‘성북동 비둘기’로 잘 알려진 분이다.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이 시 또한 1970년대 유심초가 부른 ‘저녁에’라는 노래로 잘 알려졌다.
나는 그분의 시집 ‘겨울날’의 먼지를 털어내고 단풍잎처럼 바싹 마른 책갈피를 넘기다가 맨 뒷장을 열었다. ‘1975년 눈 내리는 날에’라는 내 만년필 글씨가 적혀 있다. 그러니까 45년 전, 오늘처럼 눈 내리는, 기억에도 없는 아련한 날에 산 모양이다.
시인 김광섭은 1905년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고향의 중동학교에서 영어교사를 한다. 그러다가 해방 후 대통령 공보비서관을 지냈는데, 1974년 일지사에서 ‘김광섭 시전집’을 냈다. 그 전집 산문에 그의 이런 글이 있다.
‘인생은 짧고 무상하지만 아무 일도 못할 정도로 짧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고 한 말이다. 앞서 내가 여쭈어본 분으로부터 듣지 못한 대답을 여기서 듣는 것 같았다.
다들 인생은 짧다 짧다 하지만 세상에 나와 주어진 일을 못할 정도로 짧은 것은 아니라는 그분의 말이 솔직하게 다가왔다. 수명의 한계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이 지상에서 천상의 그 별과 교류하는, 시인의 우주적 관조가 엿보이는 말이었다.
‘인생은 짧다’는 말은 분명히 상대적이다. 누구에게는 길고 누구에겐 짧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들 짧다고 할 때 짧은 것만은 아니라고 하는 그의 말이 귀하고 아름답다. 싱거운 소리 덕분에 인생의 비밀 한 점을 어렴풋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