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섭 시인님] 코로나보다 두려운 낙인 공포
[이규섭 시인님] 코로나보다 두려운 낙인 공포
by 이규섭 시인님 2020.12.18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하루 1000명을 넘어서며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1월 20일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이후 기온이 떨어지면서 더 극성을 부린다. 국민들은 코로나 확정 판정보다 코로나에 걸렸단 이유로 비난 받는것이 더 두렵다는 코로나 ’낙인(烙印) 공포‘에 떨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10월 말 조사 결과 10명 중 7명(67.8%)이 낙인 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확진자가 4만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따가운 시선에 대한 공포’를 치유할 방역도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심리적 저지선인 1000명 선이 무너진 것은 당국이 경제와 방역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다가 제때 거리 두기를 격상하지 못한 것이 겨울철과 겹쳐지면서 만연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하면서 ‘소비 쿠폰’을 대대적으로 지급한 것도 거리 두기에 대한 심리적 경각심을 이완시켜 방역의 악재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코로나 낙인에 자영업자들의 불안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저 식당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다”는 소문이 돌면 손님들의 발길이 끊긴다. 사무실 부근 대형 음식집이 소문에 못 견디고 문을 닫았다. 두어 달 뒤 다른 음식점이 들어서 성업 중이지만 식당에 들어설 때마다 전화번호 기록과 손 소독 권유가 유난스럽다. 음식점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손님들이 불편을 감수해 줬으면 좋겠다고 부탁한다.
보도에 따르면 직장인 A씨는 사내(社內) 1호 코로나 확진자가 될 것이 두려워 몰래 코로나 검사를 자비를 들여 했다고 한다. 지방 사립대 교수 B씨는 코로나 완치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높이려고 실명으로 언론 인터뷰를 했다가 가정에 불화가 생기는 등 엄청난 후폭풍을 겪었다고 한다. 취업 준비생 C씨는 회사 면접이나 입사 전 설문조사에서 검사받은 사실을 이야기했다가 탈락되는 건 아닌지 불안감이 든다고 털어놓았다.
K방역에 대한 배신감도 든다. ‘코로나 독재’같은 상황에서도 정부 방역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왔다.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재해문자 알람도 참고 넘긴다. 국민들은 ‘방역’과 ‘인권’이 충돌할 때 대부분 방역을 지지했다. 이번 통계청 조사에서도 드러났듯 ‘방역대책이 강화돼야 할 때라면 인권 보호는 후 순위로 미뤄둬야 한다’에 국민 10명 중 8명(78.2%)이 동조하고 호응했다. 이는 유럽이나 미국 일각에서 사교모임 자제나 휴대전화 위치 정보 활용 등을 인권침해로 보고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잖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영국과 미국에선 이미 백신 접종이 시작됐고, 선진국들은 인구의 몇 배에 달할 정도로 백신을 확보해 놓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가 확보했다는 백신은 내년 후반기에나 FDA 승인이 가능하다니 화가 난다. 절망감에 분통이 터진다.
코로나 국민인식조사를 해온 Y교수는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치료를 잘 받으면 전파력이 점차 줄어든다”고 한다. 완치 이후엔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국민들이 이해해야 한다니 낙인찍기를 자제해 줬으면 좋겠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10월 말 조사 결과 10명 중 7명(67.8%)이 낙인 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확진자가 4만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따가운 시선에 대한 공포’를 치유할 방역도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심리적 저지선인 1000명 선이 무너진 것은 당국이 경제와 방역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다가 제때 거리 두기를 격상하지 못한 것이 겨울철과 겹쳐지면서 만연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하면서 ‘소비 쿠폰’을 대대적으로 지급한 것도 거리 두기에 대한 심리적 경각심을 이완시켜 방역의 악재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코로나 낙인에 자영업자들의 불안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저 식당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다”는 소문이 돌면 손님들의 발길이 끊긴다. 사무실 부근 대형 음식집이 소문에 못 견디고 문을 닫았다. 두어 달 뒤 다른 음식점이 들어서 성업 중이지만 식당에 들어설 때마다 전화번호 기록과 손 소독 권유가 유난스럽다. 음식점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손님들이 불편을 감수해 줬으면 좋겠다고 부탁한다.
보도에 따르면 직장인 A씨는 사내(社內) 1호 코로나 확진자가 될 것이 두려워 몰래 코로나 검사를 자비를 들여 했다고 한다. 지방 사립대 교수 B씨는 코로나 완치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높이려고 실명으로 언론 인터뷰를 했다가 가정에 불화가 생기는 등 엄청난 후폭풍을 겪었다고 한다. 취업 준비생 C씨는 회사 면접이나 입사 전 설문조사에서 검사받은 사실을 이야기했다가 탈락되는 건 아닌지 불안감이 든다고 털어놓았다.
K방역에 대한 배신감도 든다. ‘코로나 독재’같은 상황에서도 정부 방역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왔다.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재해문자 알람도 참고 넘긴다. 국민들은 ‘방역’과 ‘인권’이 충돌할 때 대부분 방역을 지지했다. 이번 통계청 조사에서도 드러났듯 ‘방역대책이 강화돼야 할 때라면 인권 보호는 후 순위로 미뤄둬야 한다’에 국민 10명 중 8명(78.2%)이 동조하고 호응했다. 이는 유럽이나 미국 일각에서 사교모임 자제나 휴대전화 위치 정보 활용 등을 인권침해로 보고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잖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영국과 미국에선 이미 백신 접종이 시작됐고, 선진국들은 인구의 몇 배에 달할 정도로 백신을 확보해 놓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가 확보했다는 백신은 내년 후반기에나 FDA 승인이 가능하다니 화가 난다. 절망감에 분통이 터진다.
코로나 국민인식조사를 해온 Y교수는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치료를 잘 받으면 전파력이 점차 줄어든다”고 한다. 완치 이후엔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국민들이 이해해야 한다니 낙인찍기를 자제해 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