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섭 시인님] 주량과 절제
[이규섭 시인님] 주량과 절제
by 이규섭 시인님 2021.04.16
언론인이자 시인이며 영문학자인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ㆍ1897~1961)는 술꾼으로도 유명하다. 그가 쓴 수필집 ‘명정 40년(酩酊四十年)’은 술 마시고 벌인 추태와 실수가 흥건하게 담겼다. ‘명정’이란 정신을 차리지 못할 정도로 만취한 상태를 뜻한다. ‘오투타가’(誤投他家ㆍ술이 취해 남의 집에 잘 못 들어감) 실수가 여러 번이고 ‘취와노상’(醉臥路上ㆍ술 취해 길에서 잠이 듬) 추태도 많았다. 술을 마셨다 하면 끝장을 보는 성미였고, 말 술, 주신(酒神), 주호(酒壺), 국보급 주객(酒客)으로 불리었다.
성균관대 영문과 교수 재직 시절, 공초 오상순, 성재 이관구, 횡보 염상섭이 찾아오자 성대 뒷산 사발정 약수터에서 술을 마셨다. 만취 상태에 비가 와 옷이 젖자 공초는 ‘자연으로 돌아가자’며 옷을 벗어 찢었다. 네 사람 모두 의기투합, 일사불착(一絲不着ㆍ실오라기 하나 없음) 상태로 부근에 있던 소를 타고 캠퍼스를 거쳐 동네로 내려오다 경찰에 연행된 일화는 유명하다.
수주 변영로에는 못 미치지만 언론인 J 씨의 주량도 녹록지 않다. 해직기자에서 짜장면 집 주인을 거쳐 작가로 활동하며 다시 언론인으로 복귀했던 그의 주력(酒歷)도 혀를 내두르게 한다. 내가 취재한 ‘별난 사람’이다. 그는 사회부 기자 시절, 술 좋아하는 동료와 ‘누가 더 센가’ 내기를 했다. 술집을 한 집씩 차례로 들러 무슨 술이든 딱 한 잔씩 마셔 누가 먼저 떨어지냐는 겨루기다. 상대방을 녹다운 시킨 뒤 호기를 부리며 귀가 택시를 타려다 “내가 먼저 잡았다”며 실랑이가 벌어졌다. 그 사람과 어울려 또 술을 마셨다는 호주가다. 술에 장사 없다고 몇 년 전 칠십 대 중반에 타계했다.
최근 ‘언론 회보’에 언론인 선배가 기고한 술의 건강학에 따르면 술은 ‘J자(字)’의 끝부분처럼 ‘조금, 적정량’을 마시면 몸에 이롭지만 그 선을 넘으면 독이 된다는 것이다. ‘J 커브’는 1981년 영국의 마멋(Michael Marmot) 의학박사가 처음 발표했다. 그 후 1993년 미국 보건과학협의회에서 검증하여 ‘적정량의 음주는 사망률을 떨어트리고, 건강에 플러스가 된다’는 결론을 내놓아 ‘J 커브’가 공인됐다. 이에 근거하여 일본의 의사들은 저마다 ‘J 커브, J 커브’ 하며 인용하고 있다.
‘갑자기 술을 끊으면 오히려 빨리 죽는다’는 제목의 책을 써 화제를 모은 구라찌 미유끼(倉知美幸) 의학박사는 ‘술의 적정량을 사께(日本酒) 1홉(合 180ml), 와인 4분의 1병(180ml), 소주 0.6홉(110ml), 위스키 더블 1잔(60ml)’이라고 했다. 일본의 알코올 건강의학협회는 그 두 배까지는 괜찮다는 계산을 내놓았다.
올해 80대 중반인 선배는 매일 술을 즐기는 애주가다. 현재의 주량은 와인 한 병. “즐겁게 마시는 술은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최상의 보상”이라고 강조한다. 같은 양의 술이라도 마시는 상대와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난다.
술 마신 다음 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양이 적정량이 아닌가 싶다. 술 마신 다음 날 숙취로 속이 쓰리고 집중력이 떨어진다면 과음한 것이다.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적당한 절제 또한 삶의 지혜다.
성균관대 영문과 교수 재직 시절, 공초 오상순, 성재 이관구, 횡보 염상섭이 찾아오자 성대 뒷산 사발정 약수터에서 술을 마셨다. 만취 상태에 비가 와 옷이 젖자 공초는 ‘자연으로 돌아가자’며 옷을 벗어 찢었다. 네 사람 모두 의기투합, 일사불착(一絲不着ㆍ실오라기 하나 없음) 상태로 부근에 있던 소를 타고 캠퍼스를 거쳐 동네로 내려오다 경찰에 연행된 일화는 유명하다.
수주 변영로에는 못 미치지만 언론인 J 씨의 주량도 녹록지 않다. 해직기자에서 짜장면 집 주인을 거쳐 작가로 활동하며 다시 언론인으로 복귀했던 그의 주력(酒歷)도 혀를 내두르게 한다. 내가 취재한 ‘별난 사람’이다. 그는 사회부 기자 시절, 술 좋아하는 동료와 ‘누가 더 센가’ 내기를 했다. 술집을 한 집씩 차례로 들러 무슨 술이든 딱 한 잔씩 마셔 누가 먼저 떨어지냐는 겨루기다. 상대방을 녹다운 시킨 뒤 호기를 부리며 귀가 택시를 타려다 “내가 먼저 잡았다”며 실랑이가 벌어졌다. 그 사람과 어울려 또 술을 마셨다는 호주가다. 술에 장사 없다고 몇 년 전 칠십 대 중반에 타계했다.
최근 ‘언론 회보’에 언론인 선배가 기고한 술의 건강학에 따르면 술은 ‘J자(字)’의 끝부분처럼 ‘조금, 적정량’을 마시면 몸에 이롭지만 그 선을 넘으면 독이 된다는 것이다. ‘J 커브’는 1981년 영국의 마멋(Michael Marmot) 의학박사가 처음 발표했다. 그 후 1993년 미국 보건과학협의회에서 검증하여 ‘적정량의 음주는 사망률을 떨어트리고, 건강에 플러스가 된다’는 결론을 내놓아 ‘J 커브’가 공인됐다. 이에 근거하여 일본의 의사들은 저마다 ‘J 커브, J 커브’ 하며 인용하고 있다.
‘갑자기 술을 끊으면 오히려 빨리 죽는다’는 제목의 책을 써 화제를 모은 구라찌 미유끼(倉知美幸) 의학박사는 ‘술의 적정량을 사께(日本酒) 1홉(合 180ml), 와인 4분의 1병(180ml), 소주 0.6홉(110ml), 위스키 더블 1잔(60ml)’이라고 했다. 일본의 알코올 건강의학협회는 그 두 배까지는 괜찮다는 계산을 내놓았다.
올해 80대 중반인 선배는 매일 술을 즐기는 애주가다. 현재의 주량은 와인 한 병. “즐겁게 마시는 술은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최상의 보상”이라고 강조한다. 같은 양의 술이라도 마시는 상대와 분위기에 따라 차이가 난다.
술 마신 다음 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양이 적정량이 아닌가 싶다. 술 마신 다음 날 숙취로 속이 쓰리고 집중력이 떨어진다면 과음한 것이다.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적당한 절제 또한 삶의 지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