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남극 빙하, 막지 못할 정도로 녹고 있다”
NASA “남극 빙하, 막지 못할 정도로 녹고 있다”
by 뉴시스 2014.05.14
남극 서부 빙하가 막을 수 없을 정도로 녹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연구 결과 2개가 잇따라 발표돼 과학자들이 해수면이 생각보다 더 올라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우려스러운 결과가 바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과학자들은 수백 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빙하가 녹아 결국 해수면이 1.2∼3.6m 더 올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상, 항공, 위성에서 40년 동안 가장 취약한 부분인 남극 서부 빙하를 관찰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이번 연구들은 빙하가 과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빠르게 녹고 있고 이 현상이 도미노 현상처럼 확산돼 주요 한계를 넘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워싱턴대학의 빙하학자 이안 주그힌 교수가 12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이 연구에서 "이 현상이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이 현상의 초기 단계를 실제로 목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연구진은 이날 NASA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인간이 만든 지구온난화와 오존홀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 때문에 남극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해수 온도가 높아져 빙하 가장자리가 녹고 있다”고 설명했다.
NASA의 빙하학자인 에릭 리그노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 교수도 같은 날 과학전문지 지구물리학연구지에 발표한 연구에서 "이 체계는 멈출 수 없는 연쇄 반응"이라며 "이 반응에서 모든 과정이 다음 과정을 부추긴다"고 밝혔다.
그는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화석연료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해도 빙하가 녹는 것을 막지 못할 수 있지만, 그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리그노 교수를 비롯한 많은 과학자가 빙하가 녹는 것을 막아주는 경계선으로 간주돼온 기선(基線)이 사실상 무너졌다고 보고 있다. 남극에서 빙하가 녹지 않는 곳은 산이나 언덕 외에 아무 곳도 없다.
리그노 교수는 이는 마치 코르크를 딴 포도주병을 가로로 놓았을 때 포도주가 흘러나오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웨이츠 빙하에서 떨어져 나간 빙하 6개를 관찰했다. 주그힌 교수도 스웨이츠 빙하가 다른 빙하들과의 연관성이 깊으며 이 빙하가 다른 빙하가 녹는 도화선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이 연구에서 초기 빙하 융해 단계가 시작됐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연구에서 1990년대부터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진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사용한 리그노 교수는 “‘붕괴’란 단어에 지나치게 빨리 사라진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며 “슬로우모션 붕괴의 시작이 될 수 있으며 우리가 이를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남극 대륙에 있는 그 외 빙하 전문가들은 리그노 교수의 연구를 높이 평가하면서 남극 빙하 융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설빙센터(NSIDC)의 수석 연구원 테드 스캠보스는 “이 연구는 나쁜 소식이자 게임체인저"라며 "항상 남극 서부에서 가장 우려스럽고 위험하다고 말해왔던 과정이 한참 뒤에 볼 수 있을 거로 생각했으나 이미 시작됐다"고 밝혔다.
리그노 교수는 이 연구에서 남극 서부 빙하가 다 녹으면 해수면이 1.2m 더 상승할 것이라고 봤지만, 이 현상이 주변 빙상의 융해를 유발해 해수면이 총 3.6m 더 높아질 것이라는 주그힌 교수의 전망에 이견을 달지 않았다.
이 우려스러운 결과가 바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과학자들은 수백 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빙하가 녹아 결국 해수면이 1.2∼3.6m 더 올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상, 항공, 위성에서 40년 동안 가장 취약한 부분인 남극 서부 빙하를 관찰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이번 연구들은 빙하가 과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빠르게 녹고 있고 이 현상이 도미노 현상처럼 확산돼 주요 한계를 넘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워싱턴대학의 빙하학자 이안 주그힌 교수가 12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이 연구에서 "이 현상이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이 현상의 초기 단계를 실제로 목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연구진은 이날 NASA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인간이 만든 지구온난화와 오존홀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 때문에 남극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해수 온도가 높아져 빙하 가장자리가 녹고 있다”고 설명했다.
NASA의 빙하학자인 에릭 리그노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 교수도 같은 날 과학전문지 지구물리학연구지에 발표한 연구에서 "이 체계는 멈출 수 없는 연쇄 반응"이라며 "이 반응에서 모든 과정이 다음 과정을 부추긴다"고 밝혔다.
그는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화석연료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해도 빙하가 녹는 것을 막지 못할 수 있지만, 그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리그노 교수를 비롯한 많은 과학자가 빙하가 녹는 것을 막아주는 경계선으로 간주돼온 기선(基線)이 사실상 무너졌다고 보고 있다. 남극에서 빙하가 녹지 않는 곳은 산이나 언덕 외에 아무 곳도 없다.
리그노 교수는 이는 마치 코르크를 딴 포도주병을 가로로 놓았을 때 포도주가 흘러나오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웨이츠 빙하에서 떨어져 나간 빙하 6개를 관찰했다. 주그힌 교수도 스웨이츠 빙하가 다른 빙하들과의 연관성이 깊으며 이 빙하가 다른 빙하가 녹는 도화선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이 연구에서 초기 빙하 융해 단계가 시작됐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연구에서 1990년대부터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진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사용한 리그노 교수는 “‘붕괴’란 단어에 지나치게 빨리 사라진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며 “슬로우모션 붕괴의 시작이 될 수 있으며 우리가 이를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남극 대륙에 있는 그 외 빙하 전문가들은 리그노 교수의 연구를 높이 평가하면서 남극 빙하 융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설빙센터(NSIDC)의 수석 연구원 테드 스캠보스는 “이 연구는 나쁜 소식이자 게임체인저"라며 "항상 남극 서부에서 가장 우려스럽고 위험하다고 말해왔던 과정이 한참 뒤에 볼 수 있을 거로 생각했으나 이미 시작됐다"고 밝혔다.
리그노 교수는 이 연구에서 남극 서부 빙하가 다 녹으면 해수면이 1.2m 더 상승할 것이라고 봤지만, 이 현상이 주변 빙상의 융해를 유발해 해수면이 총 3.6m 더 높아질 것이라는 주그힌 교수의 전망에 이견을 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