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고속버스도 승차권없이 탑승 가능
내달부터 고속버스도 승차권없이 탑승 가능
by 뉴시스 2015.02.27

앞으로 고속버스도 승차권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은 3월 2일부터 고속버스 153개 전노선을 대상으로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서비스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쳤다.
E-PASS 시스템이 본격운영되면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해져 추가발권 없이 홈티켓이나 모바일 티켓만으로원하는 버스에 바로 탑승할 수 있다.
예약을 하지 못한 경우에도 좌석이 남아있다면 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에 선·후불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태그해 즉시 발권 후 탑승이 가능하다.
E-PASS는 고속버스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승차권 발권, 교통카드·신용카드결제, 도착 안내 등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동안 고속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1시간이전에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해 예약을 해야 하고, 터미널에도착해 매표소에서 다시 발권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예약을 못한 경우 터미널에서 발권이 지연되는바람에 눈 앞에서 차량을 놓치는 일이 빈번히 발생했다.
아울러 차량 내 승객은 차내 모니터와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정확한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버스의 현재 이동경로와 도착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노선 별로 이용 어플이 달라 불편이 있었던 '고속버스모바일' 앱도 통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고속버스의 E-PASS 서비스의 도입을 계기로 향후 일반 시외버스 등에도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시스 기사 ·사진 제공>
국토교통부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은 3월 2일부터 고속버스 153개 전노선을 대상으로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서비스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쳤다.
E-PASS 시스템이 본격운영되면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해져 추가발권 없이 홈티켓이나 모바일 티켓만으로원하는 버스에 바로 탑승할 수 있다.
예약을 하지 못한 경우에도 좌석이 남아있다면 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에 선·후불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태그해 즉시 발권 후 탑승이 가능하다.
E-PASS는 고속버스차량 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승차권 발권, 교통카드·신용카드결제, 도착 안내 등 정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동안 고속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1시간이전에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해 예약을 해야 하고, 터미널에도착해 매표소에서 다시 발권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예약을 못한 경우 터미널에서 발권이 지연되는바람에 눈 앞에서 차량을 놓치는 일이 빈번히 발생했다.
아울러 차량 내 승객은 차내 모니터와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정확한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버스의 현재 이동경로와 도착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노선 별로 이용 어플이 달라 불편이 있었던 '고속버스모바일' 앱도 통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고속버스의 E-PASS 서비스의 도입을 계기로 향후 일반 시외버스 등에도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시스 기사 ·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