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공에 힘을 모으자.
“목포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공에 힘을 모으자.
by 목포교차로신문 나정권기자 2019.01.24
지난 1월 15일 sbs 뉴스 ‘끝까지 판다’에서 손혜원 국회의원의 부동산 투기 의혹 관련 내용을 보도하였다. 이후 이 뉴스를 둘러싸고 연일 전국적으로 논쟁과 정쟁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사태를 지켜보면서 목포 시민들은 당혹스럽기 그지없다. 언제 목포가 이렇게 전국적 뉴스거리가 된 적이 있었는지 돌아보면서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사)목포포럼”(상임대표 곽유석)은 지역 여론을 선도하는 시민단체로서 작금의 이런 상황을 보면서 무엇이 올바른 판단이고 또 무엇이 올바른 대책인지 숙고하면서 많은 논의를 거쳤다. 그 결과를 성명서에 담았다.
원도심의 공동화와 그로 인한 주민들의 피폐한 삶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식상할 만큼 오래되었다. 도시의 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원도심의 공동화 현상은 그 주변까지 퍼지면서 더욱 심해졌다. 지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곳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았던 버려진 공간이었다.
늦었지만, 이제 겨우 목포의 원도심이 재생되고 있다. 2014년부터 목포에서는 정부 지원으로 낡은 도심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도시재생 선도사업(2014∼2017)”을 추진하였다. 그 뒤를 이어 2017년 12월 14일 국토교통부의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목포시 선창권 〈1897 개항문화거리〉(중심시가지형)와 서산권 〈바다를 품은 행복마을 만들기〉(주거지 지원형) 등 2개 사업이 최종 선정되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리고 2018년 9월 19일, 문화재청이 전국 지자체에 공모한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에도 선정되었다. 이 사업을 위해 110,000㎡에 달하는 면적의 공간과 이에 속하는 15개 개별 건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이처럼 정주여건 개선은 물론 역사자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원도심 활성화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져 왔다. 민간 차원에서의 자발적인 노력도 있다. 낙후된 목포의 도심 속에서 공동체적인 삶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중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문화재청의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이다. 사실 이는 목포에서 오래 전부터 하고자 했던 숙원사업이었다. 원도심의 쇠락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문화론적 도시개발을 내세우며 “역사문화의 길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사)목포포럼”도 목포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근대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힘겨운 투쟁도 하였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도 해 왔다. 문화자원의 보존을 통한 지역발전이야말로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문화재청 사업에 선정된 것에 대해 목포시민들은 당연히 환영하고 그 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사실 이곳은 목포시민들로부터도 외면당하던 곳이었다. 여기에 희망의 싹이 트기 시작한 데는 손혜원 국회의원의 마중물 역할이 있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래서 그 진정성도 믿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건의 진위 여부를 떠나, 이번 보도 건으로 자칫 이제 겨우 뿌려진 원도심 활성화의 씨앗이 싹도 트기 전에 밟혀 버릴까 안타까운 마음이다.
문화재청 사업은 ‘도시 재생’과도 다르고, ‘도시 재개발’과도 더더욱 다르다. 그만큼 투기와는 거리가 멀다. 일단 문화재로 지정되면 여러 가지로 개발에 제약이 따른다. 지정된 문화재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까지도 재산권 행사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투기 대상으로 삼기에는 정말 부적절한 지역이다. 목포시에서는 “근대 역사공간보존 지구 지정”을 추진하면서 투기자본의 유입을 배제하고 있음은 물론, 오히려 주민들의 재산권이 과도하게 제한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이 문제가 문제 제기 차원을 넘어 정치권의 정쟁으로, 언론사간의 논쟁으로 비화하면서 본질이 왜곡되고 있다. 그 와중에 목포 시민들은 관광객 감소나 시범 사업 좌초로 이어지면서 겨우 맞이한 재활의 기회를 놓칠까 전전긍긍이다. 목포시민마저도 그 와중에 서로 갈려 그 나마의 힘마저 분산시킬까 두렵기도 하다.
우리는 이렇게 간절히 부탁한다.
1. 투기에 대한 진위 여부는 팩트에 근거한 판단이 따라야 하겠지만, 정쟁이나 논쟁을 우선하는 소모적 행위는 지금 즉시 그쳐주기 바란다.
2. “목포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이 성공하여 낙후된 지역민도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치권도, 언론도, 시민사회도 힘을 모아주기 바란다.
3. 목포의 역사를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원도심은 근대 역사를 대표하는 ‘기억의 장소’로 보존되어야 하며, 이를 저애하는 부당한 행위는 철저히 단속되어야 한다.
4. 목포 시민을 분열시키려는 어떤 외부세력의 개입도 결연히 거부하며,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해 지역발전을 바라는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기다린다.
2019년 1월 23일
(사)목포포럼 회원 일동
원도심의 공동화와 그로 인한 주민들의 피폐한 삶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식상할 만큼 오래되었다. 도시의 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원도심의 공동화 현상은 그 주변까지 퍼지면서 더욱 심해졌다. 지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곳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았던 버려진 공간이었다.
늦었지만, 이제 겨우 목포의 원도심이 재생되고 있다. 2014년부터 목포에서는 정부 지원으로 낡은 도심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도시재생 선도사업(2014∼2017)”을 추진하였다. 그 뒤를 이어 2017년 12월 14일 국토교통부의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목포시 선창권 〈1897 개항문화거리〉(중심시가지형)와 서산권 〈바다를 품은 행복마을 만들기〉(주거지 지원형) 등 2개 사업이 최종 선정되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리고 2018년 9월 19일, 문화재청이 전국 지자체에 공모한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에도 선정되었다. 이 사업을 위해 110,000㎡에 달하는 면적의 공간과 이에 속하는 15개 개별 건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이처럼 정주여건 개선은 물론 역사자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원도심 활성화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져 왔다. 민간 차원에서의 자발적인 노력도 있다. 낙후된 목포의 도심 속에서 공동체적인 삶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중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문화재청의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이다. 사실 이는 목포에서 오래 전부터 하고자 했던 숙원사업이었다. 원도심의 쇠락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문화론적 도시개발을 내세우며 “역사문화의 길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사)목포포럼”도 목포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근대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힘겨운 투쟁도 하였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도 해 왔다. 문화자원의 보존을 통한 지역발전이야말로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문화재청 사업에 선정된 것에 대해 목포시민들은 당연히 환영하고 그 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사실 이곳은 목포시민들로부터도 외면당하던 곳이었다. 여기에 희망의 싹이 트기 시작한 데는 손혜원 국회의원의 마중물 역할이 있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래서 그 진정성도 믿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건의 진위 여부를 떠나, 이번 보도 건으로 자칫 이제 겨우 뿌려진 원도심 활성화의 씨앗이 싹도 트기 전에 밟혀 버릴까 안타까운 마음이다.
문화재청 사업은 ‘도시 재생’과도 다르고, ‘도시 재개발’과도 더더욱 다르다. 그만큼 투기와는 거리가 멀다. 일단 문화재로 지정되면 여러 가지로 개발에 제약이 따른다. 지정된 문화재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까지도 재산권 행사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투기 대상으로 삼기에는 정말 부적절한 지역이다. 목포시에서는 “근대 역사공간보존 지구 지정”을 추진하면서 투기자본의 유입을 배제하고 있음은 물론, 오히려 주민들의 재산권이 과도하게 제한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이 문제가 문제 제기 차원을 넘어 정치권의 정쟁으로, 언론사간의 논쟁으로 비화하면서 본질이 왜곡되고 있다. 그 와중에 목포 시민들은 관광객 감소나 시범 사업 좌초로 이어지면서 겨우 맞이한 재활의 기회를 놓칠까 전전긍긍이다. 목포시민마저도 그 와중에 서로 갈려 그 나마의 힘마저 분산시킬까 두렵기도 하다.
우리는 이렇게 간절히 부탁한다.
1. 투기에 대한 진위 여부는 팩트에 근거한 판단이 따라야 하겠지만, 정쟁이나 논쟁을 우선하는 소모적 행위는 지금 즉시 그쳐주기 바란다.
2. “목포 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이 성공하여 낙후된 지역민도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치권도, 언론도, 시민사회도 힘을 모아주기 바란다.
3. 목포의 역사를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원도심은 근대 역사를 대표하는 ‘기억의 장소’로 보존되어야 하며, 이를 저애하는 부당한 행위는 철저히 단속되어야 한다.
4. 목포 시민을 분열시키려는 어떤 외부세력의 개입도 결연히 거부하며,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해 지역발전을 바라는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기다린다.
2019년 1월 23일
(사)목포포럼 회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