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경선방식 논란 '이것이 문제'
민주통합당 경선방식 논란 '이것이 문제'
by 뉴시스 2012.02.13
동원선거·모바일투표 한계·15% 여성 공천 의무화 논란 가열
【광주=뉴시스】구길용 기자 = 민주통합당이 4·11총선 후보자 공천방식을 '선거인단 모집을 통한 모바일투표와 현장 투표'로 결정함에 따라 동원선거와 돈 선거, 모바일투표 한계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여성후보 15% 전략공천을 둘러싼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어 민주통합당이 어떤 대안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선거인단 모집
4·11 총선후보자 공천을 앞둔 민주통합당의 고민은 이른바 '동원 선거, 돈 선거'에 대한 우려다.
후보 공천을 위한 국민경선에 선거인단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를 도입함에 따라 각 예비후보들이 치열한 선거인단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후보자의 자질이나 경쟁력을 떠나 선거인단 동원 능력이 승패를 가를 것이라는 예측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각 후보 캠프는 선거전략까지 수정해 가며 선거인단 모집에 혈안이 돼있다. 정책개발이나 후보자 홍보에도 치중하지만 우선순위에서 밀릴 정도다.
선거인단 모집을 전담하는 조직관리자를 두고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문제는 동원선거에 따른 돈 선거의 우려다.
도시선거와 달리 농촌지역은 조직을 동원하는데 '돈'이 필수적이다. 선거인단 1명에 'O만원'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인단 모집을 노린 괴명부와 신청서가 노출돼 말썽이 되고 있다. 또 선거인단 모집을 둘러싼 불법선거 시비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농촌지역 예비후보들은 100% 여론조사로 경선을 실시하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한 예비후보는 "선거인단 모집으로 동원선거가 될 것이라는 우려는 이미 현실화됐고, 벌써부터 돈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는 말이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며 "모든 선거구를 국민경선으로 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는 만큼 중앙당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바일투표 한계
전남지역은 농촌 선거구가 많은데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유권자의 절반에 육박한다.
모바일투표라는 새로운 방식이 먹히지 않는 이유다.
국민경선에서 돈 선거, 동원 선거의 우려를 막는 수단으로 모바일 투표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는 대도시에서나 통하는 말이지, 농촌 선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소지한 노인들이 극소수인데다, 자녀 명의로 휴대폰을 등록한 노인들도 많다. 직접선거, 비밀선거의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더구나 모바일투표가 갖는 기술적인 오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5% 여성공천 의무화
민주통합당이 '지역구 15% 여성 공천' 의무화를 당규로 정하면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한계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남성들의 경선참여 기회를 막는 역차별이다'라는 불만들이 쏟아져 나온다. 후보자들의 경쟁력이나 됨됨이는 오히려 뒷전이다.
이 같은 방식이 현실화되면서 여성후보들의 출마선언이 잇따르는 것도 그리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지적이다.
광주·전남의 경우 여성후보 15%를 공천한다면 산술적으로 광주는 8개 선거구 중 1곳, 전남은 12개 선거구 중 1∼2곳이 해당된다.
현재 여성 후보가 예비후보로 등록한 선거구는 광주 3곳, 전남 1곳이다.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하는 남성 예비후보들과는 달리 무혈입성의 가능성도 엿보인다.
광주 서구 갑의 경우 장하진 전 여성가족부 장관의 출마를 둘러싸고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그동안 지역활동이 거의 없었던 장관 출신 여성후보가 '여성 전략공천'을 염두에 두고 출마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한 예비후보는 "지역구 여성후보 15%공천 당규에 따라 중앙관료 출신 여성정치인이 광주지역에 낙하산 공천을 받는다는 것은 광주시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며 "공정한 경선을 통해 경쟁력있는 후보자가 선택돼야지, 그렇지 않으면 두차례 실패한 서구청장 선거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kykoo1@newsis.com
【광주=뉴시스】구길용 기자 = 민주통합당이 4·11총선 후보자 공천방식을 '선거인단 모집을 통한 모바일투표와 현장 투표'로 결정함에 따라 동원선거와 돈 선거, 모바일투표 한계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여성후보 15% 전략공천을 둘러싼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어 민주통합당이 어떤 대안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선거인단 모집
4·11 총선후보자 공천을 앞둔 민주통합당의 고민은 이른바 '동원 선거, 돈 선거'에 대한 우려다.
후보 공천을 위한 국민경선에 선거인단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를 도입함에 따라 각 예비후보들이 치열한 선거인단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후보자의 자질이나 경쟁력을 떠나 선거인단 동원 능력이 승패를 가를 것이라는 예측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각 후보 캠프는 선거전략까지 수정해 가며 선거인단 모집에 혈안이 돼있다. 정책개발이나 후보자 홍보에도 치중하지만 우선순위에서 밀릴 정도다.
선거인단 모집을 전담하는 조직관리자를 두고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문제는 동원선거에 따른 돈 선거의 우려다.
도시선거와 달리 농촌지역은 조직을 동원하는데 '돈'이 필수적이다. 선거인단 1명에 'O만원'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인단 모집을 노린 괴명부와 신청서가 노출돼 말썽이 되고 있다. 또 선거인단 모집을 둘러싼 불법선거 시비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농촌지역 예비후보들은 100% 여론조사로 경선을 실시하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한 예비후보는 "선거인단 모집으로 동원선거가 될 것이라는 우려는 이미 현실화됐고, 벌써부터 돈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는 말이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며 "모든 선거구를 국민경선으로 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는 만큼 중앙당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바일투표 한계
전남지역은 농촌 선거구가 많은데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유권자의 절반에 육박한다.
모바일투표라는 새로운 방식이 먹히지 않는 이유다.
국민경선에서 돈 선거, 동원 선거의 우려를 막는 수단으로 모바일 투표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는 대도시에서나 통하는 말이지, 농촌 선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소지한 노인들이 극소수인데다, 자녀 명의로 휴대폰을 등록한 노인들도 많다. 직접선거, 비밀선거의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더구나 모바일투표가 갖는 기술적인 오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5% 여성공천 의무화
민주통합당이 '지역구 15% 여성 공천' 의무화를 당규로 정하면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한계가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남성들의 경선참여 기회를 막는 역차별이다'라는 불만들이 쏟아져 나온다. 후보자들의 경쟁력이나 됨됨이는 오히려 뒷전이다.
이 같은 방식이 현실화되면서 여성후보들의 출마선언이 잇따르는 것도 그리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지적이다.
광주·전남의 경우 여성후보 15%를 공천한다면 산술적으로 광주는 8개 선거구 중 1곳, 전남은 12개 선거구 중 1∼2곳이 해당된다.
현재 여성 후보가 예비후보로 등록한 선거구는 광주 3곳, 전남 1곳이다.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하는 남성 예비후보들과는 달리 무혈입성의 가능성도 엿보인다.
광주 서구 갑의 경우 장하진 전 여성가족부 장관의 출마를 둘러싸고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그동안 지역활동이 거의 없었던 장관 출신 여성후보가 '여성 전략공천'을 염두에 두고 출마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한 예비후보는 "지역구 여성후보 15%공천 당규에 따라 중앙관료 출신 여성정치인이 광주지역에 낙하산 공천을 받는다는 것은 광주시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며 "공정한 경선을 통해 경쟁력있는 후보자가 선택돼야지, 그렇지 않으면 두차례 실패한 서구청장 선거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kykoo1@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