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국이냐, 타결이냐" 금호타이어 교섭 재개
"파국이냐, 타결이냐" 금호타이어 교섭 재개
by 송창헌 기자 2010.03.25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워크아웃이 추진 중인 금호타이어의 노사 협상이 끝내 파국이냐, 극적 타결이냐의 기로에 서게 됐다.
특히 노사 모두 기존 방침에서 상당 부분 물러선 수정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져 대규모 구조조정은 빗겨가고, 공생의 주춧돌을 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4일 금호타이어 노사에 따르면 노조는 강·온파와 중도파 등 5개 계파가 모인 가운데 사흘 간에 걸친 마라톤 협의 끝에 모든 협상을 7인 교섭위원에게 위임키로 한 지 1주일만인 이날 중요 쟁점 7개 사항에 대한 최종 수정안을 마련했다.
기본급은 10% 삭감안을 유지하되, 상여금은 종전 100%에서 200%로 반납 폭을 넓혀 사측안을 받아들이기로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년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 단계적 도급화도 받아 들이되 대신 193명에 대한 해고는 "단 한 명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쪽으로 결론지었다.
경영난 등을 고려해 실질임금은 경우에 따라 줄일 수 있되, 인적 청산은 있을 수 없다는 게 노조측 기본 방침이다.
노조측은 또 노조가 선임한 인물을 사외이사로 임명할 것도 요구조건화했다. 노조 간부는 "노조 추천인의 사외이사화는 10여년 전부터 요구해온 것으로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인수로 5년만에 회사 부채가 100%대에서 1000%대로 급등한 것만 보더라도 근로자들의 경영 참여 폭은 넓혀져야 한다"고 밝혔다.
사측 역시 막판교섭에 대비, 수정안을 마련했다. '기본급 20% 삭감, 상여금 200% 삭감'을 골자로 한 기존안을 상당 부분 손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영정상화 계획의 이행 약정을 위해 반드시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노조 동의서를 받도록 한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정리해고가 불가피한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소강 상태에 빠졌던 노사 협상은 이날 본 교섭 재개를 계기로 본궤도에 올랐으며, 양측 모두 내부 진통 끝에 수정안을 마련한데다 채권단의 양해각서 시한(3월 말)과 정리해고 예정일(4월2일)이 코 앞에 다가온 상황이어서 끝장 교섭이 진행될 경우 늦어도 이번 주안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채권 상환유예 시한(4월5일)이 다가오면서 출자 전환이나 감자설이 확산되고 있고, 자본금 3500억 원 가운데 81.6%가 잠식돼 이달 말까지 자본 잠식을 해소했다는 자료를 내지 못하면 관리 종목으로 지정될 처지에 놓인 점도 노사를 압박하고 있다.
사측 관계자는 "직장폐쇄와 공장 점거로 맞섰던 지난해 파업 당시와 마찬가지로 끝장 교섭을 통한 마라톤 협상이 진행될 공산이 크다"며 "파국이냐, 타결이냐 앞으로 며칠간이 마지막 고비인 것 같다"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
특히 노사 모두 기존 방침에서 상당 부분 물러선 수정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져 대규모 구조조정은 빗겨가고, 공생의 주춧돌을 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4일 금호타이어 노사에 따르면 노조는 강·온파와 중도파 등 5개 계파가 모인 가운데 사흘 간에 걸친 마라톤 협의 끝에 모든 협상을 7인 교섭위원에게 위임키로 한 지 1주일만인 이날 중요 쟁점 7개 사항에 대한 최종 수정안을 마련했다.
기본급은 10% 삭감안을 유지하되, 상여금은 종전 100%에서 200%로 반납 폭을 넓혀 사측안을 받아들이기로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년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 단계적 도급화도 받아 들이되 대신 193명에 대한 해고는 "단 한 명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쪽으로 결론지었다.
경영난 등을 고려해 실질임금은 경우에 따라 줄일 수 있되, 인적 청산은 있을 수 없다는 게 노조측 기본 방침이다.
노조측은 또 노조가 선임한 인물을 사외이사로 임명할 것도 요구조건화했다. 노조 간부는 "노조 추천인의 사외이사화는 10여년 전부터 요구해온 것으로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인수로 5년만에 회사 부채가 100%대에서 1000%대로 급등한 것만 보더라도 근로자들의 경영 참여 폭은 넓혀져야 한다"고 밝혔다.
사측 역시 막판교섭에 대비, 수정안을 마련했다. '기본급 20% 삭감, 상여금 200% 삭감'을 골자로 한 기존안을 상당 부분 손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영정상화 계획의 이행 약정을 위해 반드시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노조 동의서를 받도록 한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정리해고가 불가피한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소강 상태에 빠졌던 노사 협상은 이날 본 교섭 재개를 계기로 본궤도에 올랐으며, 양측 모두 내부 진통 끝에 수정안을 마련한데다 채권단의 양해각서 시한(3월 말)과 정리해고 예정일(4월2일)이 코 앞에 다가온 상황이어서 끝장 교섭이 진행될 경우 늦어도 이번 주안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채권 상환유예 시한(4월5일)이 다가오면서 출자 전환이나 감자설이 확산되고 있고, 자본금 3500억 원 가운데 81.6%가 잠식돼 이달 말까지 자본 잠식을 해소했다는 자료를 내지 못하면 관리 종목으로 지정될 처지에 놓인 점도 노사를 압박하고 있다.
사측 관계자는 "직장폐쇄와 공장 점거로 맞섰던 지난해 파업 당시와 마찬가지로 끝장 교섭을 통한 마라톤 협상이 진행될 공산이 크다"며 "파국이냐, 타결이냐 앞으로 며칠간이 마지막 고비인 것 같다"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