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에 줄부도'…광주·전남 건설업계 '춘래불사춘'
'법정관리에 줄부도'…광주·전남 건설업계 '춘래불사춘'
by 송창헌 기자 2010.04.05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금융위기 여파에서 점차 벗어나는 듯 하던 광주·전남 건설업계가 다시 꽁꽁 얼어붙고 있다. 말 그대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은 왔으나 봄 같지 않다)의 형국이다.
금호그룹을 비롯해 대주, 삼능, 한국건설 등 광주·전남에 탯 자리를 둔 상징적 기업들이 줄줄이 자금난으로 흔들린 데 이어 지역 건설업을 진두에서 이끌던 남양건설(국내 도급순위 35위)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지역 경제가 또 다시 시련을 맞게 됐다.
4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90개 회원사 중 500억 원 이상 수주업체는 7개사(7.8%), 100억 원 이상 500억 원 미만은 11개사(12.2%)에 불과한 반면 10억 원 미만은 17개사(18.9%), 1년 동안 단 1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도 8개사(8.9%)나 됐다. 무실적 또는 30억 원 미만 수주 업체가 전체 48%(44개사)에 이르는 등 상당수 업체가 공사 물량난으로 경영난을 겪었다.
전남의 경우는 613개 회원업체의 총수주액이 8조6815억 원으로 2008년보다 6.7% 감소한 가운데 특히 건축 분야는 22.1%나 줄었다. 평균 수주액도 141억6000만 원으로 12.2% 감소했고 평균 미만을 수주한 회사가 558개사로, 전체 회원사의 91.0%를 차지했다. 수주 실적이 아예 없는 회원사도 27개사(4.4%)에 달했다.
전문 건설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무실적 업체는 광주에서만 40곳에 이르고, 전남에서는 평균 미달업체가 실적신고 총 업체의 79%(2072개사)나 돼 불황을 가늠케했다.
광주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15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제조업 기업경기전망지수 조사에서도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비금속광물을 비롯한 관련 업종의 경기가 지난해 4·4분기보다 올 1·4분기에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조사한 2월 중 어음부도율에서도 부도율은 0.23%로, 2007년 9월 이후 2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유독 건설업종만 부도금액이 늘었다.
실제 남양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지난 2일 광주에서는 S건설이 최종 부도처리됐고 앞서 지난달 31, 22, 17일에는 S종건, S건설, D건설 등 소규모 건설사들이 연거푸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를 냈다. 2월에는 전남 장성 J건설과 광주 D토건이, 지난해 11월에는 광주 D건설산업이 부도의 칼바람을 비켜가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광주·전남 톰 10 건설사 중 일부가 신규사업 진출과 수주 물량 급감에 따른 자금 경색과 금융기관의 대출 기피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추가 법정관리나 '도미노 부도'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독 광주·전남 건설업계에서 잇따라 비보가 터져 나오면서 '호남기업 죽이기'라는 정치적 해석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건설업계는 물량 침체와 미분양 아파트 등으로 회복 속도가 더딘 게 사실"이라며 "특히 아파트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데 지역 대표업체들이 줄줄이 '백기'를 들면서 정치적 해석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광주상의가 최근 지방 건설산업이 회생할 수 있도록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세 한시적 감면 등 4대 현안을 국무총리와 기획재정부 장관, 국토해양부 장관, 각 정당 대표 등 관계기관에 건의해 수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상의는 이 건의문에서 "최근 지방 미분양이 다소 완화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적체 현상을 보이고 있고 지방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는 데다 주택건설 실적도 2006년 이후 급감했고 건설 체감경기 역시 올 들어 더욱 침체되는 등 지방 건설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 국면이어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향후 2년 간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주택 구입자에 대해 일정 기간(5년 이상) 보유 후 매각할 경우 5년 간 발생하는 양도차익을 전액 감면해주는 양도세 한시적 감면제도를 재도입하고, 취·등록세 한시적 감면 기한을 1년 추가 연장해 줄 것"을 건의했다.
goodchang@newsis.com
금호그룹을 비롯해 대주, 삼능, 한국건설 등 광주·전남에 탯 자리를 둔 상징적 기업들이 줄줄이 자금난으로 흔들린 데 이어 지역 건설업을 진두에서 이끌던 남양건설(국내 도급순위 35위)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지역 경제가 또 다시 시련을 맞게 됐다.
4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90개 회원사 중 500억 원 이상 수주업체는 7개사(7.8%), 100억 원 이상 500억 원 미만은 11개사(12.2%)에 불과한 반면 10억 원 미만은 17개사(18.9%), 1년 동안 단 1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도 8개사(8.9%)나 됐다. 무실적 또는 30억 원 미만 수주 업체가 전체 48%(44개사)에 이르는 등 상당수 업체가 공사 물량난으로 경영난을 겪었다.
전남의 경우는 613개 회원업체의 총수주액이 8조6815억 원으로 2008년보다 6.7% 감소한 가운데 특히 건축 분야는 22.1%나 줄었다. 평균 수주액도 141억6000만 원으로 12.2% 감소했고 평균 미만을 수주한 회사가 558개사로, 전체 회원사의 91.0%를 차지했다. 수주 실적이 아예 없는 회원사도 27개사(4.4%)에 달했다.
전문 건설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무실적 업체는 광주에서만 40곳에 이르고, 전남에서는 평균 미달업체가 실적신고 총 업체의 79%(2072개사)나 돼 불황을 가늠케했다.
광주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15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제조업 기업경기전망지수 조사에서도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비금속광물을 비롯한 관련 업종의 경기가 지난해 4·4분기보다 올 1·4분기에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조사한 2월 중 어음부도율에서도 부도율은 0.23%로, 2007년 9월 이후 2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유독 건설업종만 부도금액이 늘었다.
실제 남양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지난 2일 광주에서는 S건설이 최종 부도처리됐고 앞서 지난달 31, 22, 17일에는 S종건, S건설, D건설 등 소규모 건설사들이 연거푸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를 냈다. 2월에는 전남 장성 J건설과 광주 D토건이, 지난해 11월에는 광주 D건설산업이 부도의 칼바람을 비켜가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광주·전남 톰 10 건설사 중 일부가 신규사업 진출과 수주 물량 급감에 따른 자금 경색과 금융기관의 대출 기피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추가 법정관리나 '도미노 부도'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독 광주·전남 건설업계에서 잇따라 비보가 터져 나오면서 '호남기업 죽이기'라는 정치적 해석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건설업계는 물량 침체와 미분양 아파트 등으로 회복 속도가 더딘 게 사실"이라며 "특히 아파트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데 지역 대표업체들이 줄줄이 '백기'를 들면서 정치적 해석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광주상의가 최근 지방 건설산업이 회생할 수 있도록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세 한시적 감면 등 4대 현안을 국무총리와 기획재정부 장관, 국토해양부 장관, 각 정당 대표 등 관계기관에 건의해 수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상의는 이 건의문에서 "최근 지방 미분양이 다소 완화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적체 현상을 보이고 있고 지방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는 데다 주택건설 실적도 2006년 이후 급감했고 건설 체감경기 역시 올 들어 더욱 침체되는 등 지방 건설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 국면이어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향후 2년 간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주택 구입자에 대해 일정 기간(5년 이상) 보유 후 매각할 경우 5년 간 발생하는 양도차익을 전액 감면해주는 양도세 한시적 감면제도를 재도입하고, 취·등록세 한시적 감면 기한을 1년 추가 연장해 줄 것"을 건의했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