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난에 행정 지연까지"-MOU 미실현 원인
"자금난에 행정 지연까지"-MOU 미실현 원인
by 송창헌 기자 2011.03.21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박준영 전남지사 취임 이후 지난해 말까지 7년새 "전남에 투자하겠다"며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기업은 모두 928곳. 이 가운데 실제 투자가 성사된 업체는 481곳에 달해 투자실현율이 51.8%를 기록했다.
2004년 16개 MOU업체 모두가 투자를 실현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87.2%, 2006년 74%, 2007년 60%, 2008년 46.8%, 2009년 55.7%를 각각 기록했다. 민선 5기 첫 해인 지난해에는 34.5%로 다소 떨어졌다.
'기업 1000개 유치'를 목표로 고삐를 바짝당긴 2008년 이후 3년동안 MOU 체결업체는 190개, 298개, 252개로 예년의 2∼3배 수준에 달했고, 실제 투자로 이어진 업체도 89, 166, 87개 업체로, 실질투자액도 최고 연 14조원에 달했다. 고용인원은 당초 기대치에 비해 30%대 초반에 머물고는 있으나 2008년 이후 해마다 1만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상당수의 MOU 실현율(업체수 기준)이 20% 안팎에 그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만한 실적이 아닐 수 없다. 지난해 지식경제부의 기업유치 만족도 조사에서는 화순과 광양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내리막길을 걷던 전남 인구도 지난해 5400여명 증가했다.
그러나 실현율 51%는 거꾸로 미실현 업체가 절반에 가깝다는 의미여서, 이들을 '투자의 장'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인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04년 6월 이후 MOU를 체결하고도 실제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업체는 모두 447곳. 오랜 기간 협의가 진행중인 181곳을 뺀 나머지 업체 중 47곳(11%)은 '행정절차 지연'을, 38곳(9%)은 '자금 문제', 31곳(7%)는 '산업단지 조성 지연'을 이유로 투자를 실현시키지 못했다.
부지 선정이나 매입이 늦어지면서 투자를 하지 못한 곳도 20곳에 달했고, 사업성 재검토에 들어간 업체도 14곳에 이른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아예 투자를 포기 또는 보류한 업체는 79곳(18%)으로 파악됐다.
실제 위그선 제작업체인 C사의 경우 금융위기 여파로 금융권 PF(여신)을 실현시키지 못한 데다 정부의 조선사 구조조정까지 맞물리면서 유동성 위기에 내몰려 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강진성전산단에 입주키로 협약한 G사 등 10여곳은 투자계획 부지인 산단 조성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발을 담그지 못하고 있으며, 천일염 유통가공업체인 S사 등은 자체 회사사정으로 부지매입을 제때 하지 못하면서 MOU 실현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08년 조선타운 선박배관 분야에 120억원 가량을 투자키로 한 H사의 경우 조선업 침체라는 직격탄을 맞은 뒤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고개를 떨궜으며, 해양체험학습장을 짓기로 한 모 공기업은 다도해 국립공원 해지와 같은 행정절차가 늦춰지면서 3년째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 2009년 수백억원을 들여 가축분뇨 바이오플랜트를 짓기로 했던 모 업체는 "운반비 등 단가가 맞지 않다"며 MOU 취소 통보를 해왔다.
이같은 'MOU 불발'을 놓고 일각에서는 구속력은 없지만 대외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를 들어 "단체장 치적쌓기용 성과주의 행정"이라고 지적한 반면 행정 기관에서는 "금융위기 등으로 업체들이 투자 시기와 금액 등을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있어서"라는데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또 지자체간 경쟁도 치열해 모 전자업체의 경우 '200억 투자, 120명 고용'을 목표로 전남유치전이 진행되는 와중에 수도권 모 지자체와의 갈등이 발목을 잡았고, 나주출신 S사의 경우 300명 고용을 목표로 유치전이 진행됐으나 끝내 충북으로 방향키를 돌려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최소 100여개의 관련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대기업 인프라가 부족한 점과 핵심산업인력인 전문계 고교와 이공계 대학 출신자들의 역외유출도 MOU 실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자금난을 겪고 있는 업체에는 여신 지원을 강화하고, 산단조성 지연으로 애로를 겪는 업체에는 다른 부지를 알선하는 한편 투자기업 사후관리시스템과 투자유치전담 PM(Project Manager)도 보강 가동중이다.
도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십수년간 지반을 잡고 경영했던 기업들이 단지 공무원들의 열정만 보고 투자할 순 없는 노릇"이라며 "성공에 대한 확신과 비교우위 산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 부지 선정과 제품 판매 과정에서의 지역민들의 도움 등이 어우러질 때 MOU도, 투자실현도 늘 것"이라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
2004년 16개 MOU업체 모두가 투자를 실현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87.2%, 2006년 74%, 2007년 60%, 2008년 46.8%, 2009년 55.7%를 각각 기록했다. 민선 5기 첫 해인 지난해에는 34.5%로 다소 떨어졌다.
'기업 1000개 유치'를 목표로 고삐를 바짝당긴 2008년 이후 3년동안 MOU 체결업체는 190개, 298개, 252개로 예년의 2∼3배 수준에 달했고, 실제 투자로 이어진 업체도 89, 166, 87개 업체로, 실질투자액도 최고 연 14조원에 달했다. 고용인원은 당초 기대치에 비해 30%대 초반에 머물고는 있으나 2008년 이후 해마다 1만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상당수의 MOU 실현율(업체수 기준)이 20% 안팎에 그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만한 실적이 아닐 수 없다. 지난해 지식경제부의 기업유치 만족도 조사에서는 화순과 광양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내리막길을 걷던 전남 인구도 지난해 5400여명 증가했다.
그러나 실현율 51%는 거꾸로 미실현 업체가 절반에 가깝다는 의미여서, 이들을 '투자의 장'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인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04년 6월 이후 MOU를 체결하고도 실제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업체는 모두 447곳. 오랜 기간 협의가 진행중인 181곳을 뺀 나머지 업체 중 47곳(11%)은 '행정절차 지연'을, 38곳(9%)은 '자금 문제', 31곳(7%)는 '산업단지 조성 지연'을 이유로 투자를 실현시키지 못했다.
부지 선정이나 매입이 늦어지면서 투자를 하지 못한 곳도 20곳에 달했고, 사업성 재검토에 들어간 업체도 14곳에 이른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아예 투자를 포기 또는 보류한 업체는 79곳(18%)으로 파악됐다.
실제 위그선 제작업체인 C사의 경우 금융위기 여파로 금융권 PF(여신)을 실현시키지 못한 데다 정부의 조선사 구조조정까지 맞물리면서 유동성 위기에 내몰려 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강진성전산단에 입주키로 협약한 G사 등 10여곳은 투자계획 부지인 산단 조성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발을 담그지 못하고 있으며, 천일염 유통가공업체인 S사 등은 자체 회사사정으로 부지매입을 제때 하지 못하면서 MOU 실현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08년 조선타운 선박배관 분야에 120억원 가량을 투자키로 한 H사의 경우 조선업 침체라는 직격탄을 맞은 뒤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고개를 떨궜으며, 해양체험학습장을 짓기로 한 모 공기업은 다도해 국립공원 해지와 같은 행정절차가 늦춰지면서 3년째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 2009년 수백억원을 들여 가축분뇨 바이오플랜트를 짓기로 했던 모 업체는 "운반비 등 단가가 맞지 않다"며 MOU 취소 통보를 해왔다.
이같은 'MOU 불발'을 놓고 일각에서는 구속력은 없지만 대외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를 들어 "단체장 치적쌓기용 성과주의 행정"이라고 지적한 반면 행정 기관에서는 "금융위기 등으로 업체들이 투자 시기와 금액 등을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있어서"라는데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또 지자체간 경쟁도 치열해 모 전자업체의 경우 '200억 투자, 120명 고용'을 목표로 전남유치전이 진행되는 와중에 수도권 모 지자체와의 갈등이 발목을 잡았고, 나주출신 S사의 경우 300명 고용을 목표로 유치전이 진행됐으나 끝내 충북으로 방향키를 돌려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최소 100여개의 관련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대기업 인프라가 부족한 점과 핵심산업인력인 전문계 고교와 이공계 대학 출신자들의 역외유출도 MOU 실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자금난을 겪고 있는 업체에는 여신 지원을 강화하고, 산단조성 지연으로 애로를 겪는 업체에는 다른 부지를 알선하는 한편 투자기업 사후관리시스템과 투자유치전담 PM(Project Manager)도 보강 가동중이다.
도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십수년간 지반을 잡고 경영했던 기업들이 단지 공무원들의 열정만 보고 투자할 순 없는 노릇"이라며 "성공에 대한 확신과 비교우위 산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 부지 선정과 제품 판매 과정에서의 지역민들의 도움 등이 어우러질 때 MOU도, 투자실현도 늘 것"이라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