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조선업 업종전환-인프라 확충 '촉각'
전남 조선업 업종전환-인프라 확충 '촉각'
by 뉴시스 2011.05.11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전남의 선도산업인 조선산업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중소조선소를 중심으로 업종 전환과 인프라 확충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이에 전남도가 중소조선업 생존력 강화를 위해 새틀짜기를 위한 실태조사에 착수해 귀추가 주목된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현재 대형 2개사, 중형 7개사 등 모두 56개(전국의 14%)의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공장 220여곳이 가동중이다. 최근 경기 회복세를 타고 대형 조선사들의 경우 서서히 되살아나고 있으나, 중·소형 조선사들은 기업 구조조정과 수주량 부족, 저선가에 따른 채산성 악화 등으로 3중고를 겪고 있다.
특히 수리조선의 경우 국내 중대형 선박 상당수가 '인건비가 싸다'는 이유로 중국 업체들에게 수리를 맡기면서 국내에서는 2만t급 이하 소형선박만 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14개사에 460여명이 일하며 연간 55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전남 수리선박사들의 경우 대부분 도장이나 용접분야만 수리하고 있을 뿐 부가가치가 높은 엔진, 전자통신, 기계 분야 등은 부산지역 업체들에게 시장을 내주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수리조선사 중 드물게 6만t급 수리가 가능한 부산오리엔트 선박 등 기업경쟁력과 인프라가 앞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광양항과 목포항 등으로의 항만 접근성이 좋고 황해지역의 수많은 항로로 수리선박 수요가 충분함에도 대형 선박을 수리할 마땅한 장소가 없다보니 발생한 일이어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더욱이 전남 조선산업이 전략산업으로 인정받아 매년 25억원의 국비를 인력 양성과 기술지원 명목으로 지원받아왔으나 현 정부 출범 이후 지원이 약화된데다 지원이 만료되는 2012년 이후에는 추가지원을 장담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조선 분야 신특화 전략도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중형조선사는 수리조선, 소형조선사나 기자재 업체는 해양·레저 및 플랜트기자재 분야로의 업종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실현 가능성을 저울질하고 나섰다.
실제 도는 최근 민·관·산·학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서남권 중소조선사의 수리조선 산업 진출 타당성과 육성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수리조선을 주축으로 한 중소조선사들의 업종다변화 등이 요구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이달 안으로 지역 내 수리조선·기자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력·부품 수급 상황과 공동물류센터 유효성 등을 조사해 중형급 이상 선박 수리가 가능한지 파악하고, 수리조선 발전 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또 필요할 경우 전문기관 연구용역 등을 통해 중·대형 수리조선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선박수리를 위해선 전기, 통신, 기계장비 등 부품수리업체가 중요한데 관련 인프라가 취약하고, 인건비 의존도가 높은 점, 외국인근로자 영입이 녹록치 않는 등 걸림돌이 적진 않지만 업종재편이 이뤄질 경우 전남 조선산업에 생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
9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현재 대형 2개사, 중형 7개사 등 모두 56개(전국의 14%)의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공장 220여곳이 가동중이다. 최근 경기 회복세를 타고 대형 조선사들의 경우 서서히 되살아나고 있으나, 중·소형 조선사들은 기업 구조조정과 수주량 부족, 저선가에 따른 채산성 악화 등으로 3중고를 겪고 있다.
특히 수리조선의 경우 국내 중대형 선박 상당수가 '인건비가 싸다'는 이유로 중국 업체들에게 수리를 맡기면서 국내에서는 2만t급 이하 소형선박만 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14개사에 460여명이 일하며 연간 55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전남 수리선박사들의 경우 대부분 도장이나 용접분야만 수리하고 있을 뿐 부가가치가 높은 엔진, 전자통신, 기계 분야 등은 부산지역 업체들에게 시장을 내주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수리조선사 중 드물게 6만t급 수리가 가능한 부산오리엔트 선박 등 기업경쟁력과 인프라가 앞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광양항과 목포항 등으로의 항만 접근성이 좋고 황해지역의 수많은 항로로 수리선박 수요가 충분함에도 대형 선박을 수리할 마땅한 장소가 없다보니 발생한 일이어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더욱이 전남 조선산업이 전략산업으로 인정받아 매년 25억원의 국비를 인력 양성과 기술지원 명목으로 지원받아왔으나 현 정부 출범 이후 지원이 약화된데다 지원이 만료되는 2012년 이후에는 추가지원을 장담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조선 분야 신특화 전략도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중형조선사는 수리조선, 소형조선사나 기자재 업체는 해양·레저 및 플랜트기자재 분야로의 업종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실현 가능성을 저울질하고 나섰다.
실제 도는 최근 민·관·산·학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서남권 중소조선사의 수리조선 산업 진출 타당성과 육성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수리조선을 주축으로 한 중소조선사들의 업종다변화 등이 요구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이달 안으로 지역 내 수리조선·기자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력·부품 수급 상황과 공동물류센터 유효성 등을 조사해 중형급 이상 선박 수리가 가능한지 파악하고, 수리조선 발전 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또 필요할 경우 전문기관 연구용역 등을 통해 중·대형 수리조선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선박수리를 위해선 전기, 통신, 기계장비 등 부품수리업체가 중요한데 관련 인프라가 취약하고, 인건비 의존도가 높은 점, 외국인근로자 영입이 녹록치 않는 등 걸림돌이 적진 않지만 업종재편이 이뤄질 경우 전남 조선산업에 생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