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의 꽃' 전남 R&D 전국 최하위 수준
'창조경제의 꽃' 전남 R&D 전국 최하위 수준
by 뉴시스 2013.06.17
연구비, 과제수, 연구인력, 성과 등 13∼15위道 "중대형 사업 타깃…자체 시스템 진단 중"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새 정부 들어 연구개발(R&D) 분야가 창조경제의 꽃이자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전남에서는 R&D 지표가 대부분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산업 중심구조를 털고 R&D를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삼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새 정부는 국정 키워드인 '창조경제'를 통해 국가 미래를 열어간다는 목표 아래 R&D 강화와 이를 통한 산업화와 일자리 창출에 국정의 역량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전남의 현재 좌표는 국정지표와 멀기만 하다.
2013년 R&D 통계 분석 결과, 전남은 총 R&D 연구비가 5329억원으로 국내 전체 연구비의 1.07%를 점유하고 있다. 정부연구비는 1906억원으로 1.34%, 지방비 매칭액은 168억원으로 6.42%를 차지했다.
정부연구비만 놓고 보면 경북 5223억원, 충남 3774억원, 충북 3195억원, 전북 2538억원에 한참 뒤져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들어선 광주도 3331억원으로,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인적, 물적 인프라도 취약하다. 연구인력은 3784명으로 점유율이 1%에 불과하고, 시설과 장비도 3046억원으로 6.8%에 그쳤다. 기자재 역시 743점으로 2.7%에 머물고 있다.
열악한 인프라는 저조한 실적으로 이어져 SCI(과학인용색인) 논문, 특허출원 모두 1∼3%대에 불과하다.
연구비, 과제수, 연구인력, 성과 분야의 경우 전국 13∼15위로, R&D 기반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방비 투자액이 7위, 시설·장비 투자규모가 4위를 차지한 점은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다.
전남대 339억원을 비롯해 목포대 176억원, 순천대 167억원, 테크노파크 150억원 등 100억원 이상의 정부 R&D사업을 수주한 곳도 4곳에 불과하다.
기본적으로 덩치 큰 국가 R&D를 수행할 기관도, 이를 이끌어갈 고급 인력과 시설도 부족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도 관계자는 "R&D 지표가 낮은 것은 연구과제 건수와 과제당 평균연구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것이 1차적 원인"이라며 "규모있는 정부 R&D를 유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오는 6월 출범하는 연구개발지원단을 컨트롤타워로 지역의 R&D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과제개발, 과제기획 단계에서부터 역량을 모아 중대형 국가 R&D사업 유치에 주력하는 한편 예비타당성사업 규모의 순수 국가 R&D사업 유치를 위해 과감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특히, 기초연구능력 부족과 공모 능력 등을 개선하기 위해 도 본청과 8개 연구·출연기관 소속 38개 연구소와 센터 등을 대상으로 R&D 추진 실태에 대한 정밀진단에 나섰다.
이를 토대로 장비 공동 활용과 연계 강화 등을 골자로 연구시스템을 개선하고, 기관별 R&D 전략을 수립하는 등 내실화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전남에는 국립대 등 규모있는 연구기관이 적어 기초연구에 어려움이 많고, 공모 능력도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R&D 역량이 충청권에 이어 전북까지 남하하고 있는 만큼 장기적인 발전 방안도 함께 마련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새 정부 들어 연구개발(R&D) 분야가 창조경제의 꽃이자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전남에서는 R&D 지표가 대부분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산업 중심구조를 털고 R&D를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삼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새 정부는 국정 키워드인 '창조경제'를 통해 국가 미래를 열어간다는 목표 아래 R&D 강화와 이를 통한 산업화와 일자리 창출에 국정의 역량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전남의 현재 좌표는 국정지표와 멀기만 하다.
2013년 R&D 통계 분석 결과, 전남은 총 R&D 연구비가 5329억원으로 국내 전체 연구비의 1.07%를 점유하고 있다. 정부연구비는 1906억원으로 1.34%, 지방비 매칭액은 168억원으로 6.42%를 차지했다.
정부연구비만 놓고 보면 경북 5223억원, 충남 3774억원, 충북 3195억원, 전북 2538억원에 한참 뒤져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들어선 광주도 3331억원으로,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인적, 물적 인프라도 취약하다. 연구인력은 3784명으로 점유율이 1%에 불과하고, 시설과 장비도 3046억원으로 6.8%에 그쳤다. 기자재 역시 743점으로 2.7%에 머물고 있다.
열악한 인프라는 저조한 실적으로 이어져 SCI(과학인용색인) 논문, 특허출원 모두 1∼3%대에 불과하다.
연구비, 과제수, 연구인력, 성과 분야의 경우 전국 13∼15위로, R&D 기반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방비 투자액이 7위, 시설·장비 투자규모가 4위를 차지한 점은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다.
전남대 339억원을 비롯해 목포대 176억원, 순천대 167억원, 테크노파크 150억원 등 100억원 이상의 정부 R&D사업을 수주한 곳도 4곳에 불과하다.
기본적으로 덩치 큰 국가 R&D를 수행할 기관도, 이를 이끌어갈 고급 인력과 시설도 부족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도 관계자는 "R&D 지표가 낮은 것은 연구과제 건수와 과제당 평균연구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것이 1차적 원인"이라며 "규모있는 정부 R&D를 유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오는 6월 출범하는 연구개발지원단을 컨트롤타워로 지역의 R&D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과제개발, 과제기획 단계에서부터 역량을 모아 중대형 국가 R&D사업 유치에 주력하는 한편 예비타당성사업 규모의 순수 국가 R&D사업 유치를 위해 과감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특히, 기초연구능력 부족과 공모 능력 등을 개선하기 위해 도 본청과 8개 연구·출연기관 소속 38개 연구소와 센터 등을 대상으로 R&D 추진 실태에 대한 정밀진단에 나섰다.
이를 토대로 장비 공동 활용과 연계 강화 등을 골자로 연구시스템을 개선하고, 기관별 R&D 전략을 수립하는 등 내실화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전남에는 국립대 등 규모있는 연구기관이 적어 기초연구에 어려움이 많고, 공모 능력도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R&D 역량이 충청권에 이어 전북까지 남하하고 있는 만큼 장기적인 발전 방안도 함께 마련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