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예산 발목" 전남 여성농업인센터 '시들'
"시설·예산 발목" 전남 여성농업인센터 '시들'
by 뉴시스 2013.11.15
두 차례 수요조사에도 희망 시·군 없어
시설·예산 발목, 국가환원 등 고심할 때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여성농업인들이 영농에 전념할 수 있도록 영유아 보육 등을 지원하기 위한 여성농업인센터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국비로 운영되는 유사 보육시설이 줄줄이 생겨난데다 시설비와 예산 확보도 발목을 잡아 센터건립을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전무한 실정이다.
14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현재 여성농업인센터가 설치·운영중인 곳은 나주, 장성, 무안, 고흥 등 4곳에 그치고 있다. 도입 첫 해인 2002년 나주와 장성에 처음 설치된 이후 10년이 지나도록 단 2곳만 추가됐다.
'지역별 균형에 맞게 확대 설치해야 한다'는 일부 여론에 따라 올해 1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전체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였지만, 희망 지역이나 운영자가 전혀 없어 추가 설치는 무산됐다.
시설과 예산이 당장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무실과 상담실, 영유아 보육시설, 방과후 학습지도실 등을 갖춘 시설이 우선 확보돼야 하지만 농촌 여건상 쉽지 않은 데다 개소당 1억3000만원에 이르는 운영비 중 시·군비가 70%에 달하는 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반경 5㎞ 이내 여성농업인과 아동 등이 이용 대상이지만 농촌인구가 갈수록 감소하다보니 이용자 확보도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게다가 읍·면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여성회관 등 보건복지부나 여성가족부에서 추진중인 유사 사업도 적잖아 틈새찾기도 쉽지 않다. 여기에 센터 확대 설치에 대한 농어촌 어린이집 운영자들의 반발도 부담거리가 되고 있다.
결국 도는 추가 설치를 포기하고, 올해도 기존 4개 센터에 대해서만 인건비와 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지원한 상태다.
이대로라면 기존 센터도 존립에 한계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비 지원이나 유사 시설과의 통합 운영 등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가에 환원한 뒤 국비로 운영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도 농림식품국 관계자는 "국비가 지원되는 유사시설이 속속 생겨나면서 이용자가 분산된데다 지방비 부담도 적잖고 선(先) 시설 확보도 어려워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많다"며 "국가 환원이나 국비지원, 연계 운영 등 다각도로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
시설·예산 발목, 국가환원 등 고심할 때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 여성농업인들이 영농에 전념할 수 있도록 영유아 보육 등을 지원하기 위한 여성농업인센터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국비로 운영되는 유사 보육시설이 줄줄이 생겨난데다 시설비와 예산 확보도 발목을 잡아 센터건립을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전무한 실정이다.
14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현재 여성농업인센터가 설치·운영중인 곳은 나주, 장성, 무안, 고흥 등 4곳에 그치고 있다. 도입 첫 해인 2002년 나주와 장성에 처음 설치된 이후 10년이 지나도록 단 2곳만 추가됐다.
'지역별 균형에 맞게 확대 설치해야 한다'는 일부 여론에 따라 올해 1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전체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였지만, 희망 지역이나 운영자가 전혀 없어 추가 설치는 무산됐다.
시설과 예산이 당장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무실과 상담실, 영유아 보육시설, 방과후 학습지도실 등을 갖춘 시설이 우선 확보돼야 하지만 농촌 여건상 쉽지 않은 데다 개소당 1억3000만원에 이르는 운영비 중 시·군비가 70%에 달하는 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반경 5㎞ 이내 여성농업인과 아동 등이 이용 대상이지만 농촌인구가 갈수록 감소하다보니 이용자 확보도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게다가 읍·면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여성회관 등 보건복지부나 여성가족부에서 추진중인 유사 사업도 적잖아 틈새찾기도 쉽지 않다. 여기에 센터 확대 설치에 대한 농어촌 어린이집 운영자들의 반발도 부담거리가 되고 있다.
결국 도는 추가 설치를 포기하고, 올해도 기존 4개 센터에 대해서만 인건비와 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지원한 상태다.
이대로라면 기존 센터도 존립에 한계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비 지원이나 유사 시설과의 통합 운영 등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가에 환원한 뒤 국비로 운영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도 농림식품국 관계자는 "국비가 지원되는 유사시설이 속속 생겨나면서 이용자가 분산된데다 지방비 부담도 적잖고 선(先) 시설 확보도 어려워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많다"며 "국가 환원이나 국비지원, 연계 운영 등 다각도로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