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목포소식(경제)

목포소식(경제)

상공인들이 '光銀 분리매각' 요구한 까닭은

상공인들이 '光銀 분리매각' 요구한 까닭은

by 송창헌 기자 2010.06.10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광주·전남 지역 상공인들이 '광주은행을 향토은행으로 만들자'며 공개적으로 분리매각에 대한 속내를 내비쳤다. 지역 자본을 중심으로 인수를 시도한 지 꼬박 5년 만이다.

경제의 버팀목인 상공인들이 지역경제의 숨주머니인 광주은행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뭘까.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금융불균형을 해소하고, 튼실한 향토은행을 지역발전의 도약대로 삼자는 의도로 우선 풀이되지만, 걸림돌도 적잖다.

▲수도권 편중에 역외유출

지역 금융산업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점포수다. 2008년말 현재 광주·전남 금융기관 점포수는 489개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에 비해 34.5%나 줄었다. 새마을금고(54.5%)가 가장 많이 감소했고, 신협(43.5%), 저축은행(36.7%), 일반은행(13.5%) 순이다. 서민경제의 실핏줄인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감소세가 눈에 띈다.

비수도권 점포수는 47.1% 급감한데 비해 수도권은 4.1%(183개) 증가했다. "외환위기 이후 수익이 떨어지는 지역점포를 축소하면서 수도권 편중이 심화됐다"는 것이 금융계의 한결같은 분석이다.

지역 금융기관이 줄면서 시중은행의 지역 잠식으로 지난해 광주·전남 지역자금 역외유출 비율은 21.6%로 서울(2.5%)의 9배에 육박했다. 금융산업의 기여도를 반영하는 금융연관비율도 광주·전남은 2008년말 현재 0.72%로, 지방 평균(1.07%)을 밑돌고, 서울(3.08%)에 비해서도 4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3월 말 현재 광주·전남 예금은행의 총예금 잔액은 25조6687억 원으로 전국 비중 3.2%에 그친 반면 수도권은 71.8%를 차지해 수도권 예·대 편중현상도 두드러졌다.

▲분리매각 왜…"공적자금 조기회수, 지역 발전"

상공인들은 광주은행 지분의 99.9%를 우리금융이, 우리금융의 지분 56.97%를 정부(예금보험공사)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현실을 바꿔 분리매각을 통해 광주은행의 향토은행화를 앞당길 경우 '금융의 글로벌화' 못잖게 '금융의 로컬화'도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공인들이 내세운 당위성은 크게 4가지. 우선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금융지주의 기업 가치를 높이고, 매각 규모 축소로 민영화의 짐을 덜 수 있다는 판단이다.

지역 중추금융 역할론도 크다. 상의 관계자는 "분리될 경우, 과거처럼 부실화 우려도 있긴 하나, 선진화된 리스크 관리와 대출심사 강화로 부실 우려는 거의 사라졌다"며 "시중은행 못잖은 자산 건전성으로 제 역할을 하는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이 좋은 예"라고 말했다.

수도권 집중화 방지와 지방분권 활성화로 지역 균형발전을 꾀할 수 있고, 소유와 경영의 분리, 전문경영인의 의한 자율경영으로 일부 대주주나 유력인사가 대출과 인사에 관여할 수 없다는 점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걸림돌 없나…"인수자금 등 난제"

우선 1조5000억 원에서 1조7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인수자금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지역 연고 대기업과 중·소 상공인, 시·도민 참여 등으로 충분히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이 상의측 입장이지만 "개별 분담금 논의에 들어가면 선뜻 수십억원, 100억 원 가량을 내놓을 회사가 얼마나 되겠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찮다.

빅5 건설사 가운데 4곳 등 간판 기업들이 줄줄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 자금동원력이 큰 기업을 찾기 쉽지 않은 데다 '지방은행은 산업자본이 지분 10% 이상을 보유할 수는 있지만 경영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금산분리 원칙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독자 지방은행으로 태어난 이후 농협이나 기업은행, 전북은행 등 기존 금융기관과의 피말리는 경쟁도 넘어야할 산이다.

"정부나 대주주의 방침에 따를 뿐 현재로선 마케팅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것이 광주은행의 입장이지만, 속사정은 이래저래 복잡한 상황이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