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구조조정 임박…광주·전남 '폭풍 전야'
건설사 구조조정 임박…광주·전남 '폭풍 전야'
by 송창헌 기자 2010.06.23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건설사 신용위험등급 평가결과 발표가 임박하면서 광주·전남 건설업계가 숨죽인 채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관급공사 주력업체는 물론 워크아웃 건설사 이름까지 나돌면서 그야말로 폭풍 전야와도 같은 상황이다.
22일 광주·전남 건설업계에 따르면 평가 대상인 시공능력 300위 이내 건설업체는 모두 28개 업체에 이르고 있다. 광주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액 2120억 원으로 110위를 기록한 J건설을 비롯, W개발, M, N, D건설 등 9곳, 전남은 S건설과 N건설, Y토건 등 모두 19곳이다.
금융 당국은 이들 기업의 감사 자료와 은행권 평가를 토대로 구조조정 대상을 추려낸 뒤 재무항목 60%, 비재무항목 40%로 평가해 80점 이상이면 정상(A), 70∼80점은 신규 자금지원(B), 60∼70점은 워크아웃(C), 60점 미만은 퇴출(D) 등 4가지 등급을 확정할 방침이다.
평가 기준에는 해외사업과 공공사업 등 사업 전반적인 포트폴리오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연체 등도 비중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금융계와 업계에서는 전국적으로 C등급 10여 곳, D등급 10여 곳 등 20여 곳이 '살생부'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주·전남에서는 적게는 1∼2곳, 많게는 4∼5곳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S, C, H건설 등 광주·전남 5개 사를 포함해 지난해 건설·조선사 1, 2차 구조조정에서 워크아웃된 업체 중 일부도 리스트에 올라있다는 풍문이 떠도는가 하면 재정여건이 상대적으로 나은 관급공사 업체도 도마 위에 올랐다는 설이 나돌면서 업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에서는 그러면서도 아파트 건설보다는 관급공사를 주로 하는 업체가 많고, 대기업보다 중견업체가 주류여서 안정성과 수익성, 활동성 등이 포함된 재무항목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긍정론도 제기되고는 있다.
하지만 경영 리스크와 영업 위험 등에 대한 금융 당국의 판단이 어떻게 내려질 지 불확실한데다 지난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많은 업체가 C, D등급을 받은 전례가 있어 구조조정의 불똥이 어디로 튈 지는 예측불허라는 게 중론이다.
모 중견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대다수 부실업체들이 C등급 이하를 받았고, 생존업체들은 예금자산만 수백억 원을 운용하는 등 재무 구조가 나아 올해는 구조조정 태풍이 지난해보다는 덜 할 것"이라면서도 "변수가 적잖아 결과는 뚜껑을 열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신규물량은 줄고, 굴릴 돈은 없고, 금융권은 대출금 회수에 급급해 업체로선 3중, 4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모기업은 물론 전문건설업체와 자회사 등의 연쇄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구조조정 폭이 최소화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
22일 광주·전남 건설업계에 따르면 평가 대상인 시공능력 300위 이내 건설업체는 모두 28개 업체에 이르고 있다. 광주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액 2120억 원으로 110위를 기록한 J건설을 비롯, W개발, M, N, D건설 등 9곳, 전남은 S건설과 N건설, Y토건 등 모두 19곳이다.
금융 당국은 이들 기업의 감사 자료와 은행권 평가를 토대로 구조조정 대상을 추려낸 뒤 재무항목 60%, 비재무항목 40%로 평가해 80점 이상이면 정상(A), 70∼80점은 신규 자금지원(B), 60∼70점은 워크아웃(C), 60점 미만은 퇴출(D) 등 4가지 등급을 확정할 방침이다.
평가 기준에는 해외사업과 공공사업 등 사업 전반적인 포트폴리오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연체 등도 비중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금융계와 업계에서는 전국적으로 C등급 10여 곳, D등급 10여 곳 등 20여 곳이 '살생부'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주·전남에서는 적게는 1∼2곳, 많게는 4∼5곳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S, C, H건설 등 광주·전남 5개 사를 포함해 지난해 건설·조선사 1, 2차 구조조정에서 워크아웃된 업체 중 일부도 리스트에 올라있다는 풍문이 떠도는가 하면 재정여건이 상대적으로 나은 관급공사 업체도 도마 위에 올랐다는 설이 나돌면서 업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에서는 그러면서도 아파트 건설보다는 관급공사를 주로 하는 업체가 많고, 대기업보다 중견업체가 주류여서 안정성과 수익성, 활동성 등이 포함된 재무항목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긍정론도 제기되고는 있다.
하지만 경영 리스크와 영업 위험 등에 대한 금융 당국의 판단이 어떻게 내려질 지 불확실한데다 지난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많은 업체가 C, D등급을 받은 전례가 있어 구조조정의 불똥이 어디로 튈 지는 예측불허라는 게 중론이다.
모 중견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대다수 부실업체들이 C등급 이하를 받았고, 생존업체들은 예금자산만 수백억 원을 운용하는 등 재무 구조가 나아 올해는 구조조정 태풍이 지난해보다는 덜 할 것"이라면서도 "변수가 적잖아 결과는 뚜껑을 열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신규물량은 줄고, 굴릴 돈은 없고, 금융권은 대출금 회수에 급급해 업체로선 3중, 4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모기업은 물론 전문건설업체와 자회사 등의 연쇄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구조조정 폭이 최소화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