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폐가전 재활용도움센터로 무료 배출하세요
소형폐가전 재활용도움센터로 무료 배출하세요
by 제주교차로 2019.01.25

올해 1월부터 도내 全 재활용도움센터에서 무상 수거 처리
제주특별자치도는 가정에서 버려지는 소형폐가전을 우도, 마라도를 제외한 도내 운영 중인 42개소 재활용도움센터에서 무상 배출 가능하다고 밝혔다.
소형폐가전 재활용도움센터 무상 배출서비스는 지난해 4월부터 서귀포시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첫 시행되어 시민들의 호응을 얻어 금년 1월부터 도내 전 재활용도움센터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지난해 수거된 소형 폐가전제품은 2018년 12월말 기준으로 6,014대로 시민들이 배출 스티커 수수료를 절감한 금액은 약 18백만원에 이르며, 2018년도에 수거·재활용된 폐가전제품 85,236대의 7%에 해당된다.
그동안 가정에서 소형폐가전제품을 무료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5개 이상 모아 리사이클링센터 수거서비스(1599-0903)를 이용하거나,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에 따라 클린하우스 등에 소형폐가전(가습기·공기청정기·오디오·전자레인지·컴퓨터본체·청소기·밥통·선풍기 등)을 배출 할 경우 대형폐기물 수수료 3,000원 스티커, 그 외 컴퓨터 키보드 1500원, 복사기는 1만2000원의 스티커를 부착·배출처리하여야 했다.
그러나 금년 1월부터는 도내 전 재활용도움센터에 소형폐가전제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출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무상으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읍·면·동사무소를 방문·구입하여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가정에서 버려지는 소형폐가전을 우도, 마라도를 제외한 도내 운영 중인 42개소 재활용도움센터에서 무상 배출 가능하다고 밝혔다.
소형폐가전 재활용도움센터 무상 배출서비스는 지난해 4월부터 서귀포시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첫 시행되어 시민들의 호응을 얻어 금년 1월부터 도내 전 재활용도움센터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지난해 수거된 소형 폐가전제품은 2018년 12월말 기준으로 6,014대로 시민들이 배출 스티커 수수료를 절감한 금액은 약 18백만원에 이르며, 2018년도에 수거·재활용된 폐가전제품 85,236대의 7%에 해당된다.
그동안 가정에서 소형폐가전제품을 무료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5개 이상 모아 리사이클링센터 수거서비스(1599-0903)를 이용하거나,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에 따라 클린하우스 등에 소형폐가전(가습기·공기청정기·오디오·전자레인지·컴퓨터본체·청소기·밥통·선풍기 등)을 배출 할 경우 대형폐기물 수수료 3,000원 스티커, 그 외 컴퓨터 키보드 1500원, 복사기는 1만2000원의 스티커를 부착·배출처리하여야 했다.
그러나 금년 1월부터는 도내 전 재활용도움센터에 소형폐가전제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출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무상으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읍·면·동사무소를 방문·구입하여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노력하고 있다.